삶과 죽음의 경계는 어디입니까?_에곤 실레
상태바
삶과 죽음의 경계는 어디입니까?_에곤 실레
  • 보일 스님
  • 승인 2022.10.10 09:0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죽음의 공포, 성의 욕망, 인간의 실존을 고민했던 에곤 실레

어느 날 붓다가 제자에게 물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제자가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라고 대답하자 붓다는 “너는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라고 말한다. 이어서 다른 제자에게도 같은 질문을 하는데 “밥 먹을 사이에 있습니다”라는 대답을 듣고는 “너도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라고 말한다. 그러다가 다른 제자가 대답하기를 “한 호흡 사이에 있습니다”라고 말하자 “훌륭하도다. 너야말로 도를 아는구나”라고 기뻐했다.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제38장」의 이 문답은 우리가 견고하고 영원할 것이라 믿는 삶이라는 것이 얼마나 위태롭고 허약한 토대 위에서 이어져 가는지 잘 보여준다. 

죽음은 삶의 선형적인 연장 속에서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삶 그 자체 속에 항상 죽음이 공존한다. 몸속으로 깊이 들이마신 숨이 도로 나오지 않으면 그것이 곧 죽음이다. 그렇게 어렵거나 철학적이지 않다. 너무나 단순한 과정이고,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하는 경계는 서로 떨어져 있지 않다. 삶과 죽음은 오히려 한몸처럼 한 덩어리로 뒤엉켜 있으면서 그 경계가 애초에 있지도 않고, 있을 것이라고 상상한 그 경계선은 호흡을 통해 여지없이 무너진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네의 삶이란 것이 얼마나 두렵고 불안한 것인가.

 

불안이 열정이 될 때 

누구에게나 삶은 불안하다. 존재한다는 것 혹은 생존한다는 것은 죽음과 맞서 싸우는 과정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우리는 이 육체가 믿고 의지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병들고 늙어가면서 여실히 느끼게 된다. 이 몸이 변치 않을 것이란 믿음은 망상에 불과하다. 그래서 그 허망함을 이겨내고자 누군가는 돈에 집착하고, 권력이나 명성, 섹스 혹은 마약에 집착하기도 한다. 

인간의 모든 광기에 가까운 집착 이면에는 그 시작을 헤아리기 힘들 정도의 근원적인 불안이 자리한다. 그 불안은 공포와 집착을 먹고사는 괴물과도 같아서, 집착으로 불안을 해소하려 하면 할수록 더욱 불안은 커져만 간다. 그러다가 급기야는 불안이 공포를 낳고 그 두려움에 송두리째 잡아먹히기도 한다. 

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어떤 이는 그 불안을 열정으로 바꾸기도 한다. 아예 솔직하게 그 불안과 위태로움, 부끄러움을 드러내고 인정하는 방식으로 그 열정의 온도를 높여간다. 바로 에곤 실레(1890~1918, Egon Schiele)가 그러한 경우이다. 

에곤 실레는 그의 작품에서 죽음의 공포, 성의 욕망, 인간의 실존을 고민한다. 에곤 실레의 시선에서 삶과 죽음, 욕망과 초월 또는 저속함과 고상함 등은 하나로 뒤엉킨다. 다가오는 죽음을 뿌리 깊은 성에 대한 욕망으로 잠시 모른 척할 수 있겠지만, 죽음은 이미 함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에곤 실레는 살고자 하는 근원적 욕망인 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지만, 오히려 그 처연한 죽음의 그림자를 동시에 담아낸다. 죽음은 어느 순간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 곁에 있는 것이다. 에곤 실레는 그 불안과 두려움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방식으로 그 경계선을 와해시킨다.

“그림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싶다”

1890년 에곤 실레는 오스트리아 북동부 작은 마을 툴른(Tulln)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다. 철도 역장이었던 아버지와 체코 출생의 어머니 사이에서 귀여움을 받으면서 자란다. 아주 어려서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해서 아버지의 반대에도 그림을 포기하지 않는다. 과묵하고 낯을 가리는 성격이었지만 그림에 대해서만큼은 누구보다 열정을 불태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철규 2022-12-04 03:01:04
네 . 멈춤이 두려워요 ,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