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수행(修行)과 신심
상태바
불교의 수행(修行)과 신심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재가수행과 출가수행

불교 를 수행의 종교라고 하는 것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자력적인 수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처님의 깨달음이 수행의 결과였으며 또 그 가르침이 모두 수행의 가르침이다.

모든 불교의 교리와 사상은 수행의 지침으로 수행없는 교리와 사상은 헛된 이론에 불과하다. 깨달음을 목적으로 수행의 경력을 쌓아 완성된 경지에 이를 때 누구나 부처님이 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불교의 인본주의(人本主義) 사상이다.

이 인본주의에 입각한 수행관을 가지고 자기완성과 나아가 이상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것이 소위 상구보리 하와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라는 불교의 목표다. 이러한 불교의 본래 뜻은 인간의 삶의 본질적 의미를 바로 알아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제행이 무상한 현상의 한계를 초월 실상(實相)의 진리의 세계에 도달하는 데 있다. 또한 인간이 부처가 되고자 한다는 것은 생, 노, 병, 사에 속박된 굴레를 벗어나는 해탈의 세계로 인간적 상황을 전환시킴을 의미한다. 다만 전환된 상황 역시 인간의 부처세계로 인간이 부처이고 부처가 인간인 상호 동체의 세계이다.

그런데 인간과 부처가 동일하다는 데서 수행의 동기가 부여된다. 왜냐하면 수행을 통한 성불의 가능성이 누구에게나 있기 때문에 이 가능성에 의해서 수행을 시작하는 것이다.

수행이란 무엇인가? 부처가 되고자 하는 마음 곧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교법대로 닦아 나아가는 실천행이다. 불교수행이란 부처가 되고자 하는 행위로 부처님의 교법을 실천하여 생활화 하는 것을 말한다. 또 사람의 습관화 된 행동이 수행과 일치할 때 그 사람에게는 수행 가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행자에게는 수행 가풍이 있다.

사람의 근기(根機)에 따라 수행의 능력이 다르긴 하지만 수행 자체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차별되는 것이 아니다. 또 수행이란 발심한 사람들이 똑같이 하는 것으로 전 불교도들에게 공통된 것이다.

엄격히 말하면 승속의 구별이나 남녀의 차별이 없다. 물론 수행의 종류와 그 방법은 다양하다. 병에 따라 약의 종류가 많듯이 중생의 근기와 혹업(惑業)에 따라 방편이 많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불교의 수행은 계, 정, 혜(戒, 定, 慧) 삼학으로 설명되는데 계행에서 시작하는 것이 수행이다. 계란 올바른 행위 좋은 습관을 뜻하는 말로 행동과 말의 실수를 예방하는 것이다.

흔히 정계(淨戒)라고 말하는데 깨끗한 품행이란 뜻으로, 몸으로써 하는 착한 행실과 말로써 하는 점잖은 언어가 선업을 지어 가는 것을 말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