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화세계를 갈구하는 기다림의 땅
상태바
용화세계를 갈구하는 기다림의 땅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국토를 찾아서, 사천시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남해바다 언저리 사천을 찾았다. 서울서 가자면 떡 가로막고 서 있는 지리산 때문에 좌로든 우로든 에돌아 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진주·하동·남해 등과 더불어 사천은 제주도보다도 멀게만 느껴진다.

시간을 아끼기 위해 밤 기차를 타고 진주에서 내렸다. 그리곤 새벽 갯바람을 맞으며 삼천포로 향했다. 애초부터 잘빠진(?) 삼천포행이었다. 아슴아슴 동이 터 오는 항구에서는 부지런한 어부들과 행상객, 중개인들이 열띤 흥정을 하고 있었다. 삶의 현장! 비릿한 생선 내음이 비위 약한 목울대를 자극하는데도 싱그럽게만 느껴지는 아침이다.

이순신 장군이 최초로 거북선을 진수해서 승리를 맛보았다는 사천 앞 바다에는 다행히도 얼마 전 태풍으로 인한 기름띠 피해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제 막 잡혀온 싱싱한 생선들이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플라스틱 함지 안에서 펼쳐놓은 부채만큼 크게 모로 누워 있는 돔이며, 험상궂은 문어, 집게다리를 쳐들고 있는 꽃게 따위들이 바다 밑의 신선함을 몸에 묻혀 올라와 있다.

어부들은 바다에 나가 작은 통통배 하나만큼의 이런 신선함을 건져오길 기원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배 하나를 채우지 못해 나머지를 바닷물로 대신 채우고 허탈하게 돌아오고 만다. 그래도 항구로 돌아오기만 하면 흥겨워지는지 이렇듯 흥청이는 삼천포다.

바다에 접한 곳일수록 불심이 깊다는 말이 참말인 듯하다. 바다 인근의 산 속을 헤매면 어디서든지 절이 아니면 조그만 암자, 아니면 빈 절터의 기와조각이라도 남아 있는 곳을 숱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곳에 산ㄴ 사람들이 항상 바다의 격랑 속을 헤치며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기 때문일 게다. 아니면 수많은 물고기를 잡아야 생활이 영위되는 역설적인 상황 때문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그것도 아니라고 한다면, 만강(萬江) 만물(萬物)이 하나로 모여 이룬 그 짜디짠 깨달음의 일미(一味), 바다가 바로 곁에 있어 그곳이 일찍부터 바라밀 인연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일까?

삼천포에서 진주쪽으로 다시 거슬러 오르다 오른편으로 보이는 잘생긴 산이 구룡산이다. 화전리에서 구룡지(九龍池)로 오르다 남쪽 산등성이 가파른 길을 허위 허위 다시 오르면 원효대사께서 창건한 구룡사가 있다. 이 인근은 불교전성기에 골짜기마다 절이 가득했다고 할 정도의 인연터다. 그래서 아직도 남은 지명 가운데 '부도골'이 있고 산중 스님들의 곡식을 도정하던 곳이라 전해지는 터가 '호박돌거리'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사전조사 때 이곳 구룡사에는 오래된 목상현판과 부도가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가서 보니 목상현판은 없고 부도도 한 기만이 외롭다. 그나마 원래의 자리를 모르는 채 절 입구에 세워져 있다. 어린이포교로 유명한 철오 스님께서 근래에 은사스님의 뒤를 이어 주지로 와 계셨다. 철오 스님의 애기로는 폐사지나 다름없는 이곳에 대처스님이 천막을 치고 살고 있었는데 은사스님께서 새로 불사를 해서 지금의 사우들이 세워지게 되었다고 한다. 애초부터 목상현판은 없었고 부도도 논두렁에 파묻혀 있던 것을 파다가 절 입구에 모시게 되었다고 하니 세월이 무상하다는 말은 이럴 때 어울리는 듯싶다.

있었던 절은 없어졌어도 남아 있는 불적이 있다. 나무나 돌에 새긴 신심이 다하고 나서도 향그럽게 풍기는 신심이 있다. 그것은 나무나 돌에 새긴 신심이 다할 때라야만이 은은히 풍기게 될 그런 샹기일런지도 모른다. 현세가 끝나고 올 용화세계가 지족(知足)의 향기….

곤양면 홍사리에는 사쳔매향비(보물 614호)가 있다. 매향(埋香)이란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집중적으로 행해졌던 신행형태의 하나로서 미륵부처님이 오실 때 그 설법을 듣고자 하는 원을 세워 땅에 침향목을 묻는 것이다. 그 나무는 바닷물 속에 오랜 기간 담가 두었던 것이기에 나중에 파내어 향을 피우면 그윽한 천상의 향을 낸다고 한다. 후세에 올 용화세계에 태어나 미륵부처님 세 번의 설법을 꼭! 듣고자 하는 발원이 이 매향이라는 의식속에 결정되어 있는 셈이다. 그 회상에서 이 향을 피워 최고의 예경을 드리려는 장기적이고 원대한 발원! 발원도 이 정도면 원적(圓寂)의 한 조각쯤은 되지 않을까?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