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차의 멋스러움 올바로 알기
상태바
우리차의 멋스러움 올바로 알기
  • 관리자
  • 승인 2007.09.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을 밝히는 등불들, 한국 차와 차문화를 지키는 석용운 스님

"어처 구니없는 실수를 한 게 차와의 처음 인연이라면 인연이었지요.

그 당시는 차라는 말도 제대로 통용되지 않았고 차문화도 완전히 끊겨 있었다고 해야 할 시대였습니다. 겨우 차라고 해야 야생차가 자라던 대흥사라든가, 선운사, 화엄사 정도에서 노장님네들이 아무런 격식 없이 만들어 마시는 정도였으니까요.

대흥사에서 노장님을 모시고 시봉을 할 때였습니다. 저도 처음엔 밥지어 먹던 공양 솥에 이른 새벽에 나가 따온 찻잎을 넣고 콩볶듯 볶아 한지로 만든 봉지에 담아두었지요.

어느 날 노장 스님께 손님이 오셔서 처음 차를 끓여 오라고 하셨을 때 그저 주전자에 차를 한 주먹 넣고 보리차를 끓이듯, 약 달이듯 끓여 내었습니다. 누르스름한 게 소태같이 썼는데 나중에야 노장님께 한 말씀을 듣고 차 끓이는 법 등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그 뒤로 연구해야 할 것을 찾던 중 차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초의 선사에 대해 알게 되었고 오늘날 한국의 다경(茶經)이라 할 『동다송(東茶頌)』과 『다신전(茶神傳)』을 찾게 되었지요."

'80년대 중반 『초의 선사 전집』을 펴낸 바 있는 용운(龍雲) 스님은 차와의 첫 인연에 대해 여러 차례 강의를 진행해온 터라 특유의 편안함으로 차분히 이야기해주신다.

어쩌면 참 인연이 닿았으리라. 1972년 2월 뒤늦게 대흥사 운기 스님을 통해 출가를 하셨고 거기엔 잊혀져 가던 차에 대한 기억들이 야생차와 다산초당과 초의 선사의 유적들로 남아 있었으므로.

초의 선사(1786∼1866)는 서산 대사 이후 13대 강사와 종사가 배출된 해남 대흥사의 13대 종사로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 등과 교우하면서 선과 유학과 도교 등을 논하며 여러 교학에도 통달했다. 대흥사 동쪽 일지암에서 40여 년 간 지관(止觀)에 전념, 불이선(不二禪)의 오의(奧義)를 찾아 정진했으며 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