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상태바
묘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관리자
  • 승인 2007.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개선되어야 할 장묘제도

 

매장은 오랫동안 내려온 우리의 전통적 관습이다. 묘소를 택할 때는 음양오행설과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하여 명당을 찾았으며 정성을 다하여 가꾸어 왔다. 이는 가신 님의 영령을 추모하고 생전에 못다 한 효를 사후에라도 드리는 것을 도리라 여기며 그 같은 정성을 통하여 후손들이 잘 살게 된다는 것을 믿는 데서 비롯된 관습이라 하겠다.

조상을 섬기는 그 마음자세는 분명히 우리의 미덕이요, 정신문화의 귀중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습에서 빚어진 오늘의 묘지 실태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제의식을 갖고 논의의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묘적부가 없어 정확한 실태를 알 수 없지만 199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있는 분묘 수는 약 1,950만기에, 그 면적은 서울시의 1.6배, 국토의 1%인 약 1,000㎢로 추정되고 있다. 묘지의 사용이 우리의 전통적 관습임을 고려할 때 국토의 1%를 할애한다는 것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 면적은 살아있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주거지역)의 절반, 그리고 생산공간(공업지역)의 약 3배에 해당된다. 분묘 1개당 면적도 약 50㎡로 국민 1인당 거주공간 44.5㎡보다 넓다. 또한 매년 약 12㎢의 국토가 사자(死者)를 위한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는데, 지난 20여 년 간 이렇게 묘지화된 면적은 같은 기간동안 간척으로 조성된 순국토확장 면적을 상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묘지 구하기도 어려운 형편이며 묘지 투기조차 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기 땅이면 아무 데라도 묘를 써도 좋다는 생각과 명당의 추구는 묘지의 무분별한 확산을 가져와 주변 경관의 저해는 물론 아름다운 국토를 묘지강산화하고 있으며 각종 국토개발사업과 마찰을 빚고 있고, 주변지역 토지 이용의 제한과 많은 산림의 벌채를 수반하고 있다.

최근에 조성된 이러한 묘의 대부분은 법률에도 위배됨에도 우리는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는 듯하다. 명당에 묘를 써도 자손이 복을 누리지 못하고 후일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묘소를 옮겨야 한다면 명당의 의미는 없는 것이나 다름이 없을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