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얽매임으로부터 참생명의 해방
상태바
존재의 얽매임으로부터 참생명의 해방
  • 관리자
  • 승인 2009.10.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출가, 그 영원한 자유의 길

  그만큼 출가란 엄청난 길이기도 하고 매력 는 일이기도 하다. 출가를 가리켜 ‘비 본래적 자기’로부터 ‘본래적 자기로의 회귀’ ‘영원한 삶의 적극적 추구’ 등등으로 묘사한다. 불교계의 제자리 찾기도 당연히 출가정신을 되새김으로서 시작되어야 한다고도 한다. 그렇다면 진정한 출가의 의미, 출가정신은 무엇이며,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한번 짚어 봄직하다.

  출가(出家)라는 것은 기존의 세계로부터 전환(轉環)을 의미하는 한 개인의 삶에 있어서 변혁일 것이다. 하나의 거듭난다는 것 수없는 존재의 그림자를 이끌며 구축한 삶의 터전을 깨고 새로운 세계로의 출구의 시도, 그것은 정신적인 도약과 새 가치체계의 질서로의 편입을 의미한다.

이러한 출가의 본래적 의미를 궁구해 보면 불교에서 말하는 출가(승려가 되는 첫·입문)에 앞서 이미 석존 이전에 존재했다.

  정통 힌두교도는 학생기(學生期), 가주기(家住期), 임주기(林住期), 유행기(遊行期)의 소위 4주기를 거치면서 일생을 마치는 것을 삶의 이상으로 삼고 있다.

「마누법전」에 의한 바라문 남자의 경우 7세가 되면 입문(入門)식이 거행되고 세 가닥의 무명실을 꼬아 만든 성색(聖索)이 주어진다. 다음에는 스승으로부터 학업을 위한 여러 가지 규칙을 배우고 베다(Veda),를 비롯한 갖가지 성전(聖典)을 올바르게 학습해야 한다. 철저히 베다의 학습을 마치고 범행(梵行)의 계를 어기지 않은 자는 스승의 허락을 얻어 집으로 돌아가서 재산을 모으며 아내를 맞이하여 가장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면서 세속생활을 열심히 한다. 얼마 후 나이가 들어 중년을 맞이하고 또 대를 이러 아들이 있게 되면 모든 재산을 아들에게 양도하고 아내도 아들에게 의탁하거나 혹은 동반하여 숲으로 들어가 간소한 오두막이나 나무아래에 살면서 수양을 쌓는다. 그리고 더욱 세속에 대한 모든 집착을 버리기 위하여 숲에서 떠나 혼자 유행 생활을 하면서 일생을 마치는 것이다. 이것이 바라문 수행자의 출가의 의미이고 이러한 이상적인 생활을 실천하는 사람은 현대 인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