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속에 내가 핀다
상태바
꽃 속에 내가 핀다
  • 관리자
  • 승인 2009.07.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심시심

 그런데, 꽃을 읊은 시작품들을 보면 우리는 대체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관점을 느낄 수 있다. 하나는 꽃을 객관적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요, 하나는 꽃과 자아를 일치시키는 자연합일의 관점이다. 전자는 꽃의 아름다움을 찬탄하면서 꽃이 지는 것을 아쉬워하거나, 꽃을 사랑하거나 그리워하는 이로 생각하는 경우이고, 후자는 꽃과 내가 하나된 경지에서 꽃속에 자아가 몰입된 경우이다. 그리고 일반 시가(詩歌)가 전자에 해당하고, 선적인 관조(觀照)를 바탕으로 한 불교인들의 시가 후자에 해당한다.

 선(禪)을 서구에 소개하는데 크게 기여한 일본의 스즈키 다이세쓰 영목대졸(鈴木大拙)은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선의 방법은 대상 그 자체로 들어가서 그 내부에 있는 바 그 대로의 사물을 보는 것이다. 어떤 꽃을 안다는 것은 그 꽃잎이 되어 그 꽃잎으로 있는 것이오, 그 꽃과 같이 피는 것이며, 꽃과 같이 비를 맞고 햇빛을 받는 것이다.(중략) 꽃을 알게 된 나의 인식에 의해서 나는 전우주의 신비를 알게 되며 이 우주의 신비는 실로나 자신의 온갖 신비를 아는 것도 된다···.” 결국 꽃을 객관적 대상으로써가 아니라 꽃과 내가 하나가 되어 내가 꽃으로 피는 물아일치(物我一致), 주객일여(主客一如)의 선경(仙境)을 말하고 있다.

 신라 이래 역대 선승들의 선시에서는 꽃을 대상으로 한 이와 같은 작품이 많다. 꽃을 진여(眞如)의 나타남으로 보든가 꽃 그 자체를 무르녹은 선지(禪旨)로 묘사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고려시대 경한(景閑)스님의 다음 시도 여기에 해당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