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사상의 특징
상태바
한국불교 사상의 특징
  • 관리자
  • 승인 2009.06.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과 한국불교

전수불교는 세속을 버리고 출가하여 전분적으로

불교의 경륜론을 연구하고 수행하던 교인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1.머리말

‘한국불교사상의 특징’이라는 과제를 다루고저 함에 먼저 두가지 방면으로 그 특징을 구분해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하나는 불교 술어르 속제적(俗諦的)불교의 특수성이 그것이요 다른 하나는 지제적(眞諦的)특수성이다. ‘속제적’이라 함은 불교를 받아들일 적부터 고유민속인 샤머니즘 무속(巫俗)적 풍토를 불교에서 적응시킨 것이니 그것은주로 병을 낫게하고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빌며 나라를 이롭게 하고 백성을 편안게 한다은 현실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인데 불교가 처음 전래될 때부터 그러한 소재.양복(消災.壤福).호국.안민(護國.安民)의 도구로서 국왕,대신으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통속적.대중적으로 신봉하여 온 불교는 대체로 이러한 속제적인 샤만풍토와 결합하여 그것이 三국시대부터 신라통일시대에 전승되었고 또 고려시대에는 더욱 그러하여 불교로 정치.국방.경제등 과업에 우선적으로 불교의 힘에 의뢰하여 호국.안민하고 소재.양복하는 일을 그 교시(敎是)를 삼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신라 시대에는 ‘백고좌인왕경법회(百高座仁王經法會),의 호국의식을 매우 중대하게 다루었고 또 ’팔관법회(八關法會),와,연등법회(燃燈法會)를 가끔 국가행사로 거국적으로 시행하여 왔으며 고려시대에는 그런 호국.기복의 의식불사가 五十여종이 발전되어 거의 샤만적인 무속불교화하였던 것이다. 이불교가 실로 큰 세력을 지니고 三국 중엽에 불교가 전래한 뒤 신라.고려 일대를 일관한 국교로서의 그런 전통을 지니고 발전되어 온 것이다. 이것은 속제적 통속불교의 특수성임이 틀림이 없다. 다음은 출가하여 전문적으로 불경을 연구하고 또 번뇌를 정화하고 보리(菩提)를 성취하려는 진제불교로서 또한 한국적인 특수한 전통사상을 개척해 온 것이 있다. 그것을 ‘전수(專修)불교,라고 한다. 이에 이 전수불교의 특수성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