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가에 대하여
상태바
출가에 대하여
  • 관리자
  • 승인 2008.01.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Ⅰ 출가

 출가란 편안하고 한가한 것을 구하는 것이 아니요, 따뜻하고 배부른 것을 구하는 것이 아니요 도업(道業)을 이루어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출가는 심신(心身)이 다함께 출가하여야 한다.

 출가라는 것이 무엇인가. 인간의 안식처요 사랑의 보금자리라 할 만한 자기 가정을 버리고 고향을 떠나서 다른 곳으로 나가는 것을 출가라고 하겠다. 신문보도에 의하면 농촌의 청년과 처녀들이 서울이 살기 좋고 일자리가 많이 있다는 부황한 말을 듣고 농촌을 떠나서 서울을 향하여 올라오는 것도 출가의 하나요, 참답게 살던 주부가 가정의 빈곤과 불화로 인하여 아무 말도 없이 가정을 버리고 나가버리는 것도 출가에 속한다. 초등학교나 중학교의 학생이 분에 지나친 요구를 하다가 어른에게 꾸중을 듣고 집을 나가는 것도 출가의 하나라고 하겠다. 그런데 나가는 사람도 고생이 막심하겠지만 집에 남아있는 사람의 고충도 여간이 아닌 것이다. 신문지상에 사람 찾는 광고를 보면

「막연하게 고생만 하지 말고 하루속히 돌아오너라. 너 때문에 집안이 난가이다.」

「엄마가 보고 싶어요. 애기가 보채는 꼴을 볼 수가 없어요. 아버지도 개심하고 다시 그러지 않는다고 하시었어요.」

「네가 돌아오면 모든 것을 다 용서하여 줄 터이니 고생만 하지 말고 하루속히 돌아오너라.」

 사진을 내고 나이와 이름을 밝히고 현상금을 걸고 사람을 찾는 광고에 이러한 애절한 문귀가 써 있는 것을 볼 때에는 사람의 눈시울을 적시게 한다. 또 집을 나간 사람도 마음이 편하지 못할 것이니 출가는 인생의 비극인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부모를 하직하고 처자를 버리고 아주 세상 생활을 떠나서 중이 되는 출가이겠는가? 불교의 종단으로서는 도제가 늘어나니까 좋은 현상이라고 하겠지만 속가의 가정으로서는 비극인 것이다. 그나마 옛날 중국의 양개(良介) 화상 사친서(辭親 書)의 내용과 같이 신심이 장하고 불교에 이해가 깊은 그 어머니의 너그러운 이해와 출가도중생(出家度衆生)의 서원이 깊고 각오가 굳은 그 아들의 결심과 같은 출가는 가치가 있고 보람이 있다고 하겠지만 그렇지 못하고 일시의 호기심이라든가 절간생활이 호화롭고 한가하다는 안일을 취하여 출가한다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다. 고인들이 말씀한 거와 같이 출가는 편안하고 한가한 것을 구함이 아니요, 따뜻하고 배부른 것을 구함이 아니요, 도업(道業)을 이루어서 제도하기 위한 것이다.

 사미수계의식(沙彌受戒儀式)에 보면 부처님께 출가를 발원하되,

 대성존에게 귀의하옵는 것은 능히 삼(三)도<지옥아귀축생> 고를 빼주고,

 또는 모든 중생과 같이 무위락(無爲樂)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이다. 

 歸依大聖尊(귀의 대성존) 能拔三途苦(능발삼도고)

 亦顯;諸衆生(역현제중생) 普入無爲樂(보입무위락)

 또 국왕에게 허락을 구하는 송에는, 위로 네가지 중한 은혜를 갚고 아래로 삼(三)도고를 건지려고, 출가하여 착한 도를 닦고자 하오니, 국왕께서는 불쌍히 허락하여 주소서.

 上報四重恩(상보사중은) 下濟三途苦(하제삼도고)

 出家修善道(출가수선도) 國王哀聽許(국왕해청허)

 이러한 것이 있고 또 부모에게 허락을 구하는데는,

 삼(三)계 가운데 굴러다니다가는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