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달의 어원
상태바
박달의 어원
  • 관리자
  • 승인 2007.10.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남덕 칼럼/한국인의 광명사상

단군(檀君)의 뜻풀이

개천절날 광덕스님은 광명을 주제로 하여 단군(檀君)의 어원풀이로 시작하셨는데, 단목(檀木)이 <박달나무>이니 그것은 <밝다>는 말과 관계있고, 그뿐 아니라 환인. 환웅(桓因 桓雄)의 <환>음도 광명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하셨다.

나는 가끔 스님들의 직감적인 어원 해석에 경탄을 금치 못하는 때가 있는데, 우리 같이 직업적인 말쟁이(어학자)들은 이것저것 아는 것을 주워대다가 보면 문제의 핵심에서 벗어나는 수가 종종 있기 때문에 더운 감탄하는 것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崔南善新訂本)에 단군은 <壇君>으로, 신단수 단수(神壇樹. 壇樹)등 도<檀>자로 통일하여 쓴 것으로 미루어, 저자인 一然스님은 제단(祭壇)의 <壇>을 의식한 것 같다.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에서도 ‘壇을 설치하여 하늘에 제사 지냈기 때문에 단군(檀君)이라 이름 하였다.’고 풀이하고 있다. 하기야 하늘에 제사 드리는 데 설단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또 자연숭배의 원시종교에서 산천이나 집밖에 제단을 차릴 때 큰 나무에 의지하였음도 이해되는 일이니<檀>이나 단<壇>이나 별 차이 없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와 거의 같은 시기에 나옴 <제왕운기(帝王韻記)>에는 <神壇樹下><檀雄天王>등으로 기록되어 박달나무 <檀>자를 쓰고 있다. 요즘 유포되고 있는 상고사 부분의 서책에도 거의가 <檀君>으로 되어 있고 신단수도 <박달나무>로 이해되고 있으니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오랜 생각의 반영으로 보인다. 역사가들은 단군의 어원에 대해서, 위에서 든 설단제천(設壇祭天> 설밖에도 몽고어의 <하늘>을 의미하는 텅거리(tengri)의 음사(音寫)설(崔南善<古事通>)이 있으나, 정작 어학자들의 학설은 조심스러운 문제라 아직 확정적인 것이 없는 형편이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이전의 기록은 우리 고유한 말도 한자(漢字)를 빌어서 기록했기 때문에 한자의 뜻을 빌어서 썼는지<訓借>음을 빌어서 썼는지<音借> 그것을 분간해 내는 일이 쉽지 않다. 광덕 스님의 檀君어원설은<박달(檀)을 <밝다(明)>와 관계 지어 푼 훈차(訓借)설이며, 필자가 이 설을 지지하는 데는 예난 우리 조상들의 원시신앙이 태양숭배였다는 점을 상기하기 때문이다. 그보다 먼저, 하고 많은 신목(神木)들- 엄나무, 느티나무, 팽나무(제주도 ,퐁낭>등-중에서 왜 하필 박달나무가 건국신화 첫 머리에 등장하느냐 하는데 의문을 가졌어야 한다.

뜰 앞에 박달나무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