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한 가야불교의 복원을 엎드려 비옵나니
상태바
찬란한 가야불교의 복원을 엎드려 비옵나니
  • 관리자
  • 승인 2007.10.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화가 깃든 산사기행/ 김해 신어산(神魚山) 은하사(銀河寺), 영구암

낙동강과 남강 남녘의 산들, 신어산 은하사는 그 낙남정맥의 끝자락에 앉아 있다.

“옛날에는 요즘같이 차도 없어 그저 걸어서 다닐 수밖에 없었는데, 전국의 산에 이런 운수객들이 다니는 길이 따로 있다. 부산 범어사에서 출발한 운수객이 저 강원도 금강산 마하연을 가기 위해서는 어떤 산길을 타야 가장 빠르고, 중간에 거쳐서 가야 할 절은 어디다 하는 것이 다 정해져 있다.”

옛 노스님네의 말씀은 신어산 은하사에서 곧 지리산으로, 지리산에서 금강산으로, 또 이 땅의 산 어디로든 갈 수 있음을 일러주고 있다. 물론 요즘 말하는 백두대간과 정맥의 종주길이 운수객의 길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산과 산으로 이어져 있던 길을 옛 스님들은 일찍이 알아 그 길을 오가며 수행의 길로 들었던 것이다.

이제 그 길은 자동차가 다니는 그 옆의 큰길에 묻혀 잊혀지고 있다. 사라지는 것이 어디 그뿐이겠는가. 그 길에서 마주쳤을 자연과 존재에 대한 경외(敬畏)의 마음 한조각도 더불어 잊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백두대간의 절길, 신어산을 오르며 다시금 느끼게 되는 감회이다.

최근 ‘달마야 놀자’라는 영화 촬영지로 더욱 이름이 알려진 은하사(055-337-0101)는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 때 장유(長遊) 스님이 창건했다고 하는 고찰이다. 전해오는 이야기나 『삼국유사』 「가락국기」 등의 내용을 그대로 따른다면 무려 2,000년 전의 일이 된다. 우리가 배운 불교 공인 시기를 훨씬 앞당겨 교과서를 새로 써야 할 판인데 학계에서는 아직도 의견이 엇갈리는 모양이다. 6세기 신라에 통합되기 전까지 신어산 아래, 낙동강유역을 석권하며 빛나는 문명을 떨쳤던 금관가야에 대한 부족한 연구 때문이다.

장유 화상은 신어산의 영구암과 동림사, 지리산 칠불암까지 창건주로 꼽히는 분이니 신라의 원효나 의상 스님처럼 가야 불교의 시조로 여겨지는 분이다.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로 배를 타고 김해까지 건너와 수로왕과 결혼한 허황후의 오라버니되는 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