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로운 구름 공중에 어리니 그 영험함 가히 알지어다
상태바
상서로운 구름 공중에 어리니 그 영험함 가히 알지어다
  • 관리자
  • 승인 2007.10.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화가 깃든 산사기행/안성 서운산(瑞雲山) 석남사(石南寺)

안성 땅 칠현산(칠장산, 516m)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내달려온 한남금북정맥이 각각 한강과 금강이라는 큰 강을 좇아 제 이름길을 내딛는 곳. 한남정맥은 곧 수원 광교산, 김포 문수산으로 줄달음치고 금북정맥은 안성 서운산, 천안 광덕산으로 굼틀거리며 청양 일월산, 예산 덕숭산을 넘어 그 몸을 서해로 떨어뜨린다.

지도를 펼 때 한강 아래 중부권을 남북으로 나누는 산줄기, 즉 경기도와 충청도를 가름하는 산들이 바로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의 높은 산들이다. 오래 전 『사회과부도』에서 보았던 이름 ‘차령산맥(車領山脈)’이 순간 떠오르는데 천안에서 공주로 넘어가는, 금북정맥의 한 고개가 바로 차령(車領)이니 그 이름이 어디서 왔는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걸음을 디뎌보면 속리산을 거치지 않고 백두대간의 한 마루금에서 그려져 나온 차령산맥의 산과 산들이 강을 건너 어떻게 닿아 있는지 도무지 좇을 수도, 확인할 수도 없다.

지도를 따라가든 직접 그 산 아래 서든 어느 것이 실제로 우리의 몸과 맘에 더욱 와닿는지 명확해지는 것이다. 더군다나 차령산맥이 100년 전 일본인 지질학자가 그려놓은 것일진대 더 말해 무엇하랴. 수백 년 쌓이고 쌓여 새겨진 이름 금북정맥이 더욱 소중한 까닭이다.

서운산은 금북정맥의 첫머리에 해당한다. 『조선왕조실록』 중종 22년에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상고하면 비를 빌어 응답이 있는 곳으로 경기도에는 적성(積成)의 용지(龍池)·용두산(龍頭山), 안성(安城)의 서운산(瑞雲山)”이라 하였으니 예로부터 나라와 백성들이 영험한 곳으로 섬겨왔음을 알 수 있다.

경기도와 충청남북도가 머리를 맞대고 앉은 산, 지리·덕유처럼 크고 높지 않되 대간의 산처럼 삼도에 그 몸을 허락한 산. 그래서 토성을 쌓을 만큼 백제시대 군사요충지로 주목을 받아온 산, 서운산이다. 이제는 한 걸음 떨어져 있는 음성군 서북쪽 백운산(460m)의 옛 이름 또한 서운산이라 하였다 하니 그 산이 차지하던 드넓음을 알 만하다.

그 곳에는 또 사시사철 어느 때나 상서로운 기운이 감돌고 그 장관으로 인해 산 밑에 사는 사람이나 몇 십리 밖에 사는 이 모두 명산으로 여겨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야기 속, 서운산의 복됨을 깨달은 칠장사의 한 도승이 지었다는 서운암은 예불 공양하면 소원성취 안 되는 것이 없는 절로 불제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그 자취를 찾을 길 없어 잊혀져가는 전설처럼 아쉽기만 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