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여래장 사상의 인간관
상태바
불성·여래장 사상의 인간관
  • 관리자
  • 승인 2007.09.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불교의 인간관

1

선심 (禪心)은 초심(初心)이라고 했다. 궁극적인 깨침의 마음도 우리가 불교에 처음 입문하며 갖게 되었던 최초의 환희심과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사실 되돌아보면 우리는 그 동안 불교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게 되었지만 타성에 젖어 최초의 그 기쁨을 계속 지니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 것이다. 초발심이 강조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 悉有佛性)’ 모든 생명체가 불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 『열반경』의 선언이다. 필자의 경우 불교 개설서에서 이 구절을 처음 접하였을 때의 기쁨은 형언할 수 없는 것이었다. 쇼펜하우어 등의 책을 읽으며 소위 ‘죽음에 이르는 병’을 앓고 있던 청년 시절의 필자에게 이 말씀은 구원의 소식이었다. 삶의 의미를 일깨워 주는 한 줄기 빛이었다.

불성 사상은 이와 같이 우리를 어리석다고 질책하거나 죄인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에게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전해준다. 근본적으로는 우리가 곧 부처님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성 사상은 우리를 아득한 절망에서 구원하는 가르침이며, 삶의 질곡에서 어둠을 밝히는 찬란한 광명인 것이다.

이러한 불성 사상은 특히 동아시아 불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적게는 핍박받는 민중의 고통을 위무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사람들에게 깊은 종교적 체험을 촉발시키고 궁극적인 해방의 경지를 일깨우는 가르침으로 작용하였음에 틀림없다. 불성 사상이 화엄의 철학에도, 천태의 교학에도, 선종의 가르침에도 그리고 정토교의 종교 체험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이를 반증한다. 불성 사상은 이와 같이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근저를 관통하여 흐르고 있는 불교의 기본정신이라 하겠다.

2

그러면 어떠한 점에서 모든 중생이 불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다시 말해 모든 생명이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법화경』은 불성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우리는 『법화경』에서 갖가지 사람들에게 수기(授記)가 주어지고 있는 모습을 발견한다. 보살에게만 수기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문들에게도 나아가서는 천룡, 야차, 건달바 등의 신인들에게도 우바새, 우바이 등의 일반인에게도 그리고 심지어는 악인 데바닷타에게도 수기가 주어지고 있다.

간단히 말해 수기를 받지 못할 중생은 아무도 없으며, 그러한 의미에서 누구나 성불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본래 수기는 업의 법칙을 바탕으로 하여 성립된 개념이다. 부처님께서 수기를 준다고 하여도 이것은 부처님의 초능력을 입증하려는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 A의 현재 행위가 미래에 성불이라는 결과로 귀결될 것임을 통찰하고 이것을 밝혀 주는 것이 수기의 본 뜻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특정한 사람의 행위, 수행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법화경』에서는 대개 그 원인으로서의 현재의 행위를 말하지 않는다. 현재의 행위가 원인이 아니라면 미래의 성불로 이끄는 원인은 무엇인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