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 순례기 ] 34.뵌포교의 사원,‘융중링(雍仲林)’
상태바
[수미산 순례기 ] 34.뵌포교의 사원,‘융중링(雍仲林)’
  • 김규현
  • 승인 2007.09.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미산 순례기 34

전통 종교인 뵌포교(Bo"n po)의 쇠락

티베트의 역사는 어찌 보면 불교와 뵌포교의 ‘대립과 융화’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뵌포는 큰 비중을 갖고 있었다. 밖에서 보면 티베트가 완전한 불교국가처럼 보이지만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실은 뵌포적 요소는 아직도 사회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뵌포교의 불교화’가 아니라 오히려 ‘불교의 뵌포화’라고도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는 우리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는데, 우리 불교가 무속(巫俗)을 거의 융화시킨 것과는 사정이 다르다는 말이다.

이렇듯 아직도 적지 않은 비중을 갖고 있는 이 뵌포를 살펴보는 것은 바로 티벳불교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하여도 필요하기에 자료조사차 거리의 ‘민족종교사무국’이라는 간판이 걸린 곳으로 무조건 들어가 보았다. 예상대로 그 곳은 뵌포교를 비롯한 군소 종교들의 라사 연락사무소였다. 가장 궁금했던 몇 가지를 물어 보았는데, 제일 먼저 한 질문은 “지금 전국에는 뵌포 사원이 몇 개가 있느냐?”였다.

사실 나의 이 질문에는 숨겨진 의도가 있었다. 알려진 사실대로, 1966년부터 시작된 ‘문화혁명’의 광풍(狂風)이 휘몰아치면서 전국의 모든 불교와 뵌포교의 사원들이 거의 파괴되었다. 그러니까 내 질문의 의도는 파괴된 숫자를 알고자 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처음부터 그렇게 질문하면 대개의 경우는 입을 다물어 버린다.

그는 현재 백여 개가 등록되어 있다고 하였다. 옛날에는 수백 개였다는 대답도 자진해서 털어 놓았다. 예상보다는 많은 숫자였다. 나중에 확인한 일이지만 이 숫자는 최근에 모두 복구된 것들이고 그것도 대부분은 일정한 사제들이 없는 작은 규모이고 다만 현재 십여 개의 사원만이 일정 규모를 갖추고 있다 하였다. 예상대로의 교세였다. 천여 년간 이 나라의 국교였으며 한때는 설역고원 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까지 위세를 떨쳤던 뵌포의 현실은 쇠락, 그 자체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