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멀미 방지법
상태바
차멀미 방지법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해와 식품

   ꊱ 차멀미의 내력

  현대생활은 차를 이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자동차에서 배기가스 공해를 일으킨다. 되도록 몸을 움직이는 것이 건강에 좋은 것이므로 차이용은 가급 피하고 싶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까지는 이용하지 않으면 생활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런 시대이므로 차멀미하기 쉬운 사람은 매우 불리한 생활조건을 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리라.

  원래 차멀미는 습관에 따라 고치기 쉬운 것이다. 그렇지만 차가 발달한 현대에도 비행기나 배에 멀미하는 사람은 적지 않다. 이번에는 차멀미의 근치법을 생각해보자.

  원래 차멀미는 평형감각의 혼란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다. 우리들의 몸에서 평형감각을 맡고 있는 기관은 귀 안에 있다. 귀가 맡고 있는 주된 임무는 말할 것도 없이 소리를 듣는 것, 그리고 그와 동시에 몸에 균형을 잡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귓구멍 안쪽으로 들어가면 고막이 있다. 거기서 다시  내부로 들어가면 난원창(卵圓窓)이라고 하는 막이 있는데 거기서부터 안쪽을 내이(內耳)라고 한다. 이 내이 속에 소리를 뇌에 전하는 장치와 몸의 균형을 잡는 장치는 삼반규관(三半規管)과 전정기관(前庭器官)이다. 전자는 운동각(運動覺)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자기의 몸이 지금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를 안다.

  후자는 위치각(位置覺)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자기 몸이 지면에 대하여 어떠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가를 안다. 이들 감각이 정상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우리들은 눈을 감고서도 서 있을 수가 있고 걸을 수 있는 것이다.

  이 평형감각이 매우 세련된 고양이는 눈을 가리고서 높은 데서 거꾸로 떨어뜨려도 떨어지는 과정에서 몸을 돌이켜 정확하게 다리로써 안전히 착지한다.

  그런 그렇고 이 운동각, 위치각을 담당하고 있는 주역은 어느 것이나 긴 털을 가진 세포다. 삼반규관의 가운데에 인파액이 있어 머리가 움직임에 따라 흐르는 인차액에 의하여 세포의 털이 흔들리고 그 자극이 세포에 와 있는 신경에 전달된다. 한편에 전정기관에서는 가는 털 위에 모래 같은 이석(耳石)이 얹혀 있다. 머리의 위치가 바뀌면 돌이 털을 당기는 모양이 되어 세포에 오는 자극이 바뀌게 된다. 이 자극상태가 축일신경에 의하여 뇌에 전달되는 것이다.

  차에 타고서 몸이 크게 동요하든지 속도가 가해지만 인차액의 흐름도 이석에 의한 자극도 보통 때보다는 매우 상태가 달라진다. 이 변화하는 자극에 능란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사람이 차멀미를 일으키는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