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瞋心)의 정신의학적 고찰
상태바
진심(瞋心)의 정신의학적 고찰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진심(瞋心)

IMF 한파로 온 국민의 사기가 땅에 떨어지고 실직자들의 한숨소리가 하늘에 가득하다. 신경정신과 진료실에 실직자나 부도기업주, 그들의 배우자들이 불만과 공황장애, 홧병증후군,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빈도가 배로 늘었다. 열심히 성실하게 살아 온 사람일수록 정부나 재벌에 대한 분노가 크고, 불공평한 세상을 원망하여 자살을 택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마약이나 알콜에 의존하고자 하는 사람도 늘고 있고 도둑이나 강도와 같은 사회범죄도 증가할 전망이다.

진심(瞋心)은 분노, 화, 적개심, 증오심 등과 동의어이다. 심리학적으로는 공격성에 대응되는데 공격성은 공격적 욕동(욕구 또는 충동), 공격적 본능으로 부르기도 한다. 공격성은 인간정신 깊은 곳(무의식)에 본래부터 갖춰진 공격적 성향을 말한다. 불교의 본유종자(本有種子)의 하나인 셈이다.

공격성은 모든 폭력과 살생의 뿌리이며 집단살육이나 전쟁의 원천이기도 하다. 정신분석학에서는 공격성은 죽음과 통하여 있다고 해서 죽음의 본능(타나토스)이라고 부르며 생의 본능(에로스)인 성적 욕동과 더불어 양대 본능으로 분류한다.

프로이트는 초기에 공격적 본능은 성적 본능의 배출 억제나 좌절에 뒤따르는 이차적인 본능으로 보았다. 그러나 아들러는 열등감과 권력에 대한 추구로부터 공격성이 뿌리한다고 보고 성적 본능과 별개임을 주장하였다. 프로이트도 일차세계대전을 겪고 난 후에 공격적 본능의 존재를 성적 본능과 대등하게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인정하였다. 융도 공격성은 인간이면 누구나 공유하는 집단무의식에 원형적으로 존재한다고 본다.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 빚어지는 갈등에서 공격성이 시작된다고 보기도 한다. 어머니에게서 적절한 충족을 받지 못한 좌절감이 공격적 충동을 일으킨다고 보는 것이다. 어린 시절에 어머니가 아이를 사랑하면서 적절한 좌절을 맛보게 하는 적응적인 환경에서 아이는 건전한 공격성인 자기주장과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반면 어머니가 아이를 귀찮아하거나 미워하고 때리는 부적응적 환경에서 부적절한 좌절감을 경험한 아이는 부정적 공격성인 적개심과 파괴적 성향을 강화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