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의 무게
상태바
부처님의 무게
  • 관리자
  • 승인 2007.09.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님의 그늘 / 금오(金烏)스님

옛말에 "비 맞은 중"이라는 말이 있다. 비를 맞아서 행색(行色)이 추레한 것을 두고 하는 말 이다. 한편, 스님은 산에 살고 산에 살기 때문에 산길을 다니는 것은 예삿일이고 산길을 가 다가 비를 만나면 오는 비를 그대로 맞을 수밖에 없으니 스님이 비를 맞는 것 또한 예삿일 이므로 사람이 예사로 당하는 일을 두고서도 이 말을 쓴다.

그런데 이 말과 비숫하기는 해도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는 말로 '비맞은 용대기(龍大旗)'라 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성깔이 드세고 풋풋하던 사람이 비를 맞고서 축 늘어진 깃발과 같이 풀이 죽어 있는 모양을 두고서 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두 말은 전혀 다른데 사람들은 흔히 이 두 말을 같은 뜻으로 쓴다. 이것은 잘 못이다. 축 늘어진 용대기는 측은한 생각을 하게 하는 데 비해서 스님의 행색이 추레한 것 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출가하여 세속을 떠난 스님은 겉치레에 관심을 두기 않는다 는 말도 된다.

그렇다고는 해도 그 해 여름의 내 옷차림새는 늘 비 맞은 꼴이어서 눈쌀을 맞기도 했다. 그 해 여름은 무척 무더웠고 소나기가 잦았다. 그 때, 내가 입고 있는 두루마기서건 옷은 무명 옷이었다. 시골 아낙네가 베틀에 올라앉아서 짠 올이 성긴 무명옷이었다. 지금은 그런 무명 을 찾아볼 수가 없지만 그 때만 해도 흔했다. 많은 스님들은 광목(廣木)이라고 해서 기계로 짠 바탕이 촘촘하고 탄탄한 무명옷을 입거나 여름이면 삼베옷을 입었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옷을 입을 복이 없어서 무명옷을 입고 있었는데 비를 맞으면 그 추레한 꼴이 말이 아니었다. 그것도 단벌이어서 벗고 갈아입을 옷이 없었다. 입은 채 말려야 했다. 때로는 조계사 회계를 맡아보는 운영(云榮)스님 방에 가서 숯불 다리미로 다려서 말리기도 했지만 번번이 그럴 수가 없었다. 그래서 틀 추레한 모양이 스님의 낯을 깎는다고 눈총도 받았고 심지어는 무슨 개멋이냐는 질타도 들어야 했다.

어느 날 조계사에서 선학원으로 가는 도중에 소나기를 낮아 흠뻑 젖었다. 그때 함께 간 스 님은 효봉 스님을 시봉하는 월타(月陀)스님이었다. 이 스님이 입고 있는 옷은 바탕이 고운 모시옷이었다. 횐 모시에 숯불로 회색 물을 들여 잘 손질을 해서 입고 햇볕에 나가면 그 연 한 회색바탕에서 아지랑이가 일 듯 빛이 났다. 신선이 입는 옷이 있다면 참으로 이런 옷이 아니겠는가 싶으리만큼, 날아갈 듯한 멋을 풍겼다. 이 멋진 옷도 흠뻑 젖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