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50주년 법련사 주지 진경 스님 “목우가풍(牧牛家風) 잇는 서울의 도심 사찰”
상태바
창립 50주년 법련사 주지 진경 스님 “목우가풍(牧牛家風) 잇는 서울의 도심 사찰”
  • 김남수
  • 승인 2024.02.22 1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나온 50년, 나아갈 100년 ① 법련사

1974년 창간된 월간 「불광」이 올해 창간 50주년을 맞았습니다. 1974년 같은 해 창간된 사찰과 단체를 찾아 지난 50년을 되돌아볼 예정입니다. ‘1974년’의 의미를 되새기고, 앞으로 맞이할 100년을 준비합니다. 첫 번째 순서로 1974년 1월 5일 창건한 종로 법련사를 찾아 주지 진경 스님을 인터뷰했습니다. 

 

법련사 전경. 서울 경복궁 동십자각 바로 앞에 있다.

경복궁 동십자각 길 건너 있는 법련사는 1974년 1월 개원했으니, 올해로 꼭 50년이다. 근처 대로변에는 한복으로 옷을 갈아입고 경복궁을 찾는 외국인들로 북적거린다. 하지만 절 안으로 들어가면 정적이 흐른다. 아담하지만 ‘고요함’이 있는 사찰이다. 

법련사 50년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 법련화 김부전(1922~1973) 보살과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의 아들 김선재(1967~1990)다. 법련화 보살은 1973년 죽음을 앞두고 건물과 토지를 기증해 법련사를 창건했다.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과 정희자 여사는 아들 김선재의 죽음 이후 법련사를 오늘날 모습으로 중창했다. 

효봉 스님과 함께 있는 법련화 보살. 법련사 제공
구산 스님과 함께. 법련사 제공

 

법련화 보살

황해도 장연군 출생의 법련화 보살은 1940년 21세 때 금강산 정양사에서 적음 스님의 금강경 법문을 듣고 불교에 귀의했다. 해방 이후 서울에 와서 사업을 크게 일궜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국제극장. 광화문 거리에서 이 현대적인 극장을 운영했으며, 이외에도 많은 사업을 했다. 한편으로는 6.25 전쟁 이후 힘든 사람을 위해 고아원과 양로원을 설립하는 등 사회사업도 진행했다. 

이즈음 인연이 된 분이 효봉 스님과 구산 스님이다. 1950년대 불교계는 혼란스러웠고, 통합종단 초대 종정으로 효봉 스님이 추대됐다. 법련화 보살은 비구 스님들을 후원하고 있었고, ‘불교정화추진위원회’ 재가 불자 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법련화 보살은 불교가 어려울 때 많은 스님을 모셨습니다. 효봉 스님과 특별한 인연이 있던 것은 두 분 모두 이북이 고향이었던 점도 있었던 듯합니다. 정신적으로 스님께 크게 의지했고, 개인적으로도 아버님 이상으로 모셨다고 합니다.”

1966년 효봉 스님이 입적할 때 일체 경비를 도맡았으며, 이후에도 송광사와 인연이 이어졌다. 1973년, 죽음이 바로 눈앞에 왔음을 직감한 법련화 보살은 순천 송광사로 내려갔다. 1973년 11월 17일 구산 스님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고, 다음 날 세상과의 인연을 다했다. 54년의 길지 않은 인생이었지만, 수행자로서 마지막을 맞은 것이다. 

법련사 주지 진경 스님. “이 절이 어떻게 세워졌는지 마음에 항상 새깁니다.” 
중창 이전의 법련사 모습. 부처님오신날 연등이 걸려 있다. 사진 법련사 제공

법련화 보살은 11월 13일 유언을 남기며, 현재 법련사 부지의 자택을 기증하고 당시로서는 꽤 큰 금액인 1억 원으로 ‘부전장학회’를 만들었다. 

“당시 송광사에서는 보살님의 장례를 스님의 다비식에 준해서 진행했습니다.”

지금도 송광사에는 법련화 보살의 공덕비가 있다. 49재가 있던 1974년 1월 5일, 법련사가 개원했다. 49재와 개원식에는 조계종 종정 고암 스님, 평소 지중한 인연이 있던 구산 스님 등 많은 스님과 불자들이 참여했다.

몇 채의 한옥으로 이루어진 법련사는 서울 도심을 찾는 스님들이 머무는 공간이 됐다. 당시에는 도심에 포교당이 없던 때고, 법련사는 무엇보다 조계사와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조계종의 많은 스님이 법련사를 찾아 불법을 펼쳤다.

송광사 스님들에게는 또 다른 안식처였다. 법정 스님도 서울에 올라올 때면, 꼭 법련사에 머물렀다. 공부를 위해 서울에 오거나 해외로 가야 할 때도 스님들은 법련사를 찾았다. 

 

법련사 중창

법련사는 1995년 중창해 모습을 일신했다. 이때의 사연은 많이 알려져 있다. 대우그룹을 이끌던 고 김우중 회장의 아들 김선재 씨가 1990년 미국에서 불의의 사고로 세상과 인연을 다했다. 아들의 죽음으로 마음이 상실해 있던 김우중 회장은 법정 스님, 현호 스님과 인연이 이어졌고, 아들을 위한 추모사업으로 법련사를 중창했다. 김우중 회장의 부인이었던 정희자 여사의 마음이기도 했다. 

“김우중 회장과 그의 어머니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죠. 그런데 정희자 여사와 친정어머니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습니다. 그런데 김우중 회장이나 시어머니는 정희자 여사에게 ‘교회에 가자’라는 말이 일절 없었고, 절에 가는 것도 불편해하지 않았다고 해요. 오히려 존중했다고 합니다.” 

종교가 다른 사돈지간이었지만 서로를 존중했다. 

“정희자 여사에게 사찰을 짓겠다고 했을 때 어려움이 없었냐고 물으니 ‘없었다’ 해요. 그리고 절만 지었냐고 하니, ‘교회도 지었다’고 합니다.”

김우중 회장 옆에서 설계를 책임졌던 이들도 현대식 건물만 지었던 터라, 전통문화를 간직한 사찰 건축은 생소한 분야였다. 법련사 회주로 계신 현호 스님의 식견에 많이 의지했다. 

현호 스님은 법련화 보살과도 인연이 깊었고, 개원 당시 초대 주지이기도 했다. 1980년대 이뤄진 송광사 중창불사 당시에 주지로 재임하면서 불사를 책임지기도 했다. 

“회주 스님께서 송광사의 목우가풍이 서울에서도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송광사 불사에 동참했던 전문가와 장인들이 다시 모여 세운 건물이 법련사입니다. 그 시대 최고의 문화를 법련사에 구현했죠.”

중창된 지 30년 지나며 건물은 조금 빛이 바랬지만, 대웅전에 모셔진 불상이나 탱화, 지장전의 시왕 등은 수작임을 알 수 있다. 

법련사는 이후 도심 포교당의 모델이 됐다. 현대식 건물 위에 한옥으로 법당이 들어섰다. 건물뿐 아니라 사찰 안에 미술관이 들어선 것도 처음이다. 지금은 흔하지만 찻집과 서점도 들어오고, 불일출판사를 설립해 불교 관련 책을 발간하고 ‘불일회보’도 발행했다. ‘보조사상연구원’이라는 연구소도 설립했다. 

중창 이후 김우중 회장은 살아 있을 때까지 절을 들렀고, 정희자 여사는 지금도 법련사 신도로 기여하고 있다.

법련사 지장전에는 (상단) 김우중 회장, (하단 왼쪽부터) 김선재 외할머니, 김선재, 법련화 보살, 또 다른 공덕주 무상각 보살 등 다섯 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50년을 맞이하는 2024년

법련사는 2024년 1월 5일 50주년 기념 법회를 봉행했다. 올해를 맞는 소감이 어떤지 물었다.

“법련사는 앞에 ‘송광사 서울분원’이라는 말을 꼭 넣습니다. 보조 스님의 목우가풍이 지켜지고, 승보사찰인 송광사의 명성이 서울에서도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죠. 이 절이 어떻게 세워졌는지 마음에 항상 새깁니다.”

“보조 스님의 목우가풍이 지켜지고, 승보사찰인 송광사의 명성이 서울에서도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50년을 맞는 올해가 또 다른 출발점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좋은 소식도 있다. 근래 뒤편으로 송현공원이 들어선 것이다. 뒤편 주차장으로 쓰이는 곳이 지금은 오히려 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의지와 관계없이 절집의 앞과 뒤가 바뀌었어요. 참 무상하죠? 50주년을 맞아 노후화된 건물을 수선해야 하는데, 시민과 함께 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을 겁니다.” 

올 3월에는 ‘법련사 불교대학’을 개원한다. 코로나19 이후, 또 유튜브의 활성화로 대면 강의가 힘들어지는 추세인데, ‘어떻게 시작했냐’고 물었다.

“저 스스로는 외형적인 변화도 중요하지만, ‘전법이 더 중요한 일이다’라고 생각하죠. 불교대학을 통해 불교 교리를 배우면서, 불자들이 불법에 대한 자부심과 실천에 대한 강한 의지를 새겼으면 합니다.”

법련사가 한 번 더 도약하고, 또 다른 50년을 준비하기 위한 첫걸음인 셈이다. 

법련사 야외에 약사부처님을 모셨다. 약사여래불 좌우로 미륵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고 있다. 사진 법련사

 

사진. 유동영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