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話頭)
상태바
화두(話頭)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님의 그늘 / 효봉(曉峰)스님

나는 화두(話頭)를 은사(恩師)스님이신 금오(金烏)스님의 지시에 따라서 선학원에서 효봉 스님으로부터 받았다. 그 때, 효봉 스님께서 일러주신 화두(話頭)는 "불불(佛佛)이 불상견(不相見)인데 여사시불(如何是佛)"이다. 굳이 번역을 하자면 "부처와 부처도 서로 알아보지 못 하는데 어떤 것이 부처인가"이다.

화두(話頭)란 글자 그대로 "이야기의 실마리"이다. 선(禪)을 수행하는 사람이 스승이나 선사 (禪師)를 찾아가서 배움을 청할 때, 이 화두(話頭)가 스승과 제자, 또는 선사와 후학 사이데 묻고 답하는 실마리가 되므로 이같이 말한다. 다시 말하면 화두는 두 사람 사이의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주제를 원칙으로 해서 공부(수행)를 해야 하므로 화칙(話則)이라고도 한다.

또 화두(話頭)를 공안(公案)이라고 한다. 공안이란 본래 관공서의 공문(公文)을 말한다. 관공 서의 공문(公文)은 개인의 사문서와 달리 공정하고 권위가 있으므로 화두 또한 권위가 있고 공정한 것이라는 뜻으로 공안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화두 즉 공안은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 을 촉발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과 수단이며, 그 방법과 수단은 부처님과 옛조사(祖師) 들의 언행(言行)과 기연(機緣)에서 나오므로 역시 권위가 있고 공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안이 성행하게 된 것은 중국 당(唐)나라 말기로부터 송대(宋代)에 걸쳐서라고 한 다. 유조(六祖)혜능(慧能) 이후, 그 때까지는 천재적인 훌륭한 선사들이 속촐해서 선(禪)의 창조적 생명의 불길이 치열하게 타오르고 있었으므로 제자를 교육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으 로 공안을 제시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던 것이 당나라 말기에 접어들면서 선의 창조적 생명 의 불길이 쇠퇴하자 선의 부흥을 위해서 공안이 제창(提唱)되는데 송(宋)의 승천 도원(承天道源)이 엮은 <전등록(傳燈錄)>에 이르면 이 책에 등장하는 선승(禪僧)이 1천7백 1명이고 이들의 언행과 기연이 1천7백하나이므로 이 때부터 공안의 수를 통틀어서 1천 7백 공안이라 고 말하게 되었다.

물론 오늘에 이르기까지 제창된 공안의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전등록과 같 이 현재까지 거쳐간 선사의 언행과 기연을 집성(集成)한 기록이 없으므로 그 숫자는 알 수 없고, 지금도 1천7백의 수치는 공안 전체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이같이 많은 공안 중 에는 효봉스님께서 나에게 일러주신 화두와 똑같은 것은 없다. 그러나 앞 부분 "부처와 부 처도 서로 알아보지 못한다."는 말을 제외한 "어떤 것이 부처인가"하는 화두는 더러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