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라파엘 로자노 - 헤머
상태바
[상상붓다] 라파엘 로자노 - 헤머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18.08.28 1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많은 ‘나’들이 함께하는 기쁨 : : DECISION FOREST展 리뷰
사진출처. 라파엘 로자노-헤머 공식 홈페이지(www.lozano-hemmer.com)

용산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 미술관(APMA)에서는 지금 멕시코 태생 미술가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의 대규모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테크놀러지를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부터 작은 작품들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를 자극해온 그의 작품들을 만났다.

|    물리학을 공부한 나이트클럽 사장의 아들, 예술가가 되다!

1967년,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멕시코의 한 나이트클럽을 운영하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 탓에 조명기계 등을 뚝딱뚝딱 만들어보곤 하며 어린 시절을 보낸 작가는 전구나 LED, 거대한 빛기둥을 이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예술가가 되었다. 17세가 되던 해, 작가는 물리화학을 공부하기 위해 캐나다로 이주한 후 과학 저널에 논문이 실릴 만큼 연구자로서 열심히 활동했으나 돌연 미술가가 되기로 결심했고, 전 세계에 그야말로 ‘연구과제’를 던지며 살고 있다. 과학자처럼 생각하고 과학자처럼 작품을 만들어내는 그의 방식은 결국 그를 다른 어떤 예술가와도 다르게 만든 것이다.

|    이상하고 새로운 공공의 기억 만들기

그의 작업을 대표하는 시리즈인 <Relational Architect

ure(상호 관계적 건축)>은 <Voz Alta(큰 목소리)>, <Solar Equation(태양 공식)>과 같이 주로 도시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로 이루어져 있다. 한 작가의 것으로 인식하기 어려울 만큼 다른 모양새를 띄는 작품들을 들여다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눈에 띈다. 그의 작품들은 관람객에게 “이상하고 새로운 공공의 기억”을 선물해왔다.

한 인터뷰에서 작가는 <Relational Architecture(상호 관계적 건축)>는 참가자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도시풍경을 바꾸는 활동”과 관계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을 활용한 참신한 기획으로 공간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기억을 바꾸는 것, 어쩌면 그것은 물리적으로 건물을 개조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도시풍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일지도 모르겠다.

 

|    수많은 ‘나’들과 함께하는 순간

그의 전시가 열리고 있는 전시장 초입에는 여러 사람들이 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Sandbox(모래상자)>는 관람자가 들어가서 놀 수 있는 커다란 모래밭과 작은 모래상자로 구성돼 있는데, 작은 모래상자에는 모래밭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장난감처럼 아주 작게 프로젝션projection되어 장난감 같은 작은 사람 그림자를 손으로 쫒아보기도 하고, 잡는 시늉을 하기도 하며 놀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었다. 한편에 펼쳐진 커다란 모래밭에는 작은 모래상자에서 놀고 있는 손이 실시간으로 투사된다. 마치 커다란 손이 자신을 쫒아오고 있는 것처럼 모래밭 저편으로 도망가보기도 하고, 뛰어보기도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관객은 “작품을 감상해야 한다!”는 부담을 내려놓고, 모래밭에서 뛰어 놀며 자연스레 걸음을 옮기게 된다.

여러 크고 작은 작품들을 지나 작가의 대표작이기도 한 <Pulse Room(고동치는 방)>에 들어섰다. 어두컴컴한 천정에서는 240개의 전구가 반짝이고, ‘두근, 두근’하는 맥박 소리가 들려왔다. 다른 관람자들을 따라 모퉁이에 설치된 핸들 장치에 손을 얹자, 기계가 나의 맥박을 감지하고서는 맥박과 같은 속도로 소리를 내고 천장에 설치된 전구를 깜빡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