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제 47칙
상태바
무문관 제 47칙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가의 선수행, 선 수행의 필독서 IV

도솔삼관(兜率三關)

[무문관] 제 47칙에 다음과 같은 시공관(時空觀)을 바탕으로 하여 다룬 생사관(生死觀)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도솔종열(兜率從悅) 스님이 수행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삼관(三關)을 설하였다.

1) 제일관(第一關) : 수행자들은 오로지 견성(見性)을 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그대의 성(性)은 어디에 있는고?

2) 제이관(第二關) : 또 자성(自性)을 식득하면 정히 생사(生死)에서 벗어날지니 안광(眼光)이 떨어질 때 어떻게 벗어날 것인고?

3) 제삼관(第三關) : 그리고 생사에서 벗어나면 곧 갈 곳을 알지니 사대(四大) 분리하여 어디로 갈꼬?

여기서 관은 한 단계, 두 단계라는 뜻이다. 즉 한 고개를 넘고 또 한 고개를 넘는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 하남성(河南省) 북서에 있는 관문으로 매우 험한 '함곡관(函谷關)'이 있었다. 동쪽의 중원(中原)으로부터 이 관을 넘어야 서쪽의 관중(關中)으로 갈 수가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선에서도 한 고개 두 고개등의 험지를 넘지 않고는 깨달음에 도달할 수가 없다. 그래서 도솔종열 스님도 세 가지 관을 만들어 놓고 수행자들에게 물었던 것이다.

첫째 관문을 살펴보자. "지금 그대의 성은 어디에 있는고?" 즉, 참나[眞我]를 내놓아 보라는 것이다. 즉 존재한다는 것은 공간 속에 놓여 있다는 것을 묵시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사실은 여기에 함정이 있다. 참나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 화두는 다른 화두들과 같이 제자들이 스승에게 어리석은 물음을 물었을 때 어리석은 물음을 하는 존재를 일깨워주던 것과는 달리 제자들에게 물어볼 틈도 주지 않고 즉시 그대들의 '참나'를 이 자리에서 내놓아 보아라! 라고 다그친 것이다.

둘째 관문은 정말 '참나'가 어디 있는지를 안다면 생사에 대해 자유로울 것이니 사대로 분리될 때 즉, 육신이 병들고 늙어서 썩어갈 때 생사에 초탈한 증거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바른 생사관을 제시해 보라는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사대는 원래 지수화풍(地水火風)을 뜻하나 과학이 발달한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는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90여 종류의 기본 원소를 뜻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생사를 초월했다면 죽어서 갈 곳도 알 것이니 육신이 썩어 문드러질 때 우리의 자성은 어디로 갈 것인가? 라는 물음을 통해 제자에게 사후(死後)의 공간에 대한 견해까지 철저히 제시하라고 다그치고 있다.

그러나 첫째 관문을 철저히 투과(透過)한 사람이라면 둘째 관문과 셋째 관문은 식은 죽 먹기보다 더 쉬운 일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