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수행의 필독서 Ⅰ
상태바
선 수행의 필독서 Ⅰ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가의 선수행

'선 수행의 필독서' 편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선 수행 지침서인 『무문관(無門關)』과 『벽암록(碧巖錄)』의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기에 담겨있는 화두들 가운데 무문관 제 1칙에 나오는 '조주무자' 화두와 조사스님들이 제자들로 하여금 바른 시공관과 생사관을 갖게 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참나를 일깨우기 위해 사용한, 직접 시공관을 다룬 화두들을 몇 개 골라 제창(提唱)하기로 하겠다. 아울러 이 화두들을 물리학적인 관점을 곁들이면서 살피고자 하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물리학과 선적(禪的) 체험은 그 영역이 완전히 별개라는 것을 다짐해 둔다.

참고로 내가 속한 선도회(禪道會)에서는 지난 호까지 연재했던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화두들'을 마친 수행자들은 무문관과 벽암록에 들어있는 화두들을 들고 본격적인 수행을 하게 된다.

무문관과 벽암록

선(禪)은 당(唐)시대(618-906)에 가장 창조적인 활력으로 넘쳐 있었지만 그후 문화적 예술적인 면으로 발전되면서 북송(北宋)시대에는 차츰 회고적(懷古的) 풍조를 띄게 되었으며 남송(南宋) 말기에 가서야 공안에 의한 선 수행 즉 간화선(看話禪)의 체계가 확립되었다. 무문관은 이와 같은 때에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며 나타나 이 역사적 사명을 다한 소중한 선서(禪書)이다.

그러므로 같은 선 공안집이라 하더라도 벽암록과 무문관은 그 자체가 역사적 배경과 그 출현의 의의를 달리하고 있으며 이것은 두 책의 내용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난다. 다시 말해 벽암록이 영탄적(詠嘆的)이며 경애적(境涯的)으로 쓰여져 문학적인 풍부함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무문관은 직설적이고, 제창적이고 참구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확실히 운수(雲水)들의 실천적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인도하고 격려하려는 뜻을 갖고 쓰여진 것이다.

이와 같은 성격의 차이에서 자주 "무문관은 논리적이지만 이론만 따지는 경향이 강하고, 벽암록에 비해서 고상한 시적(詩的) 선미(禪味) 가 부족하다."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것은 물론 무문 선사의 성격에 의한 점이 클 것이나 무문관이 간화선의 확립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가지고 출현했던 것에 비추어볼 때 이 책의 참구적 성격은 당시 선계(禪界)의 요망에 부응한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문관은 수행자들의 지해분별(知解分別)을 철저히 끊을 수 있도록 제창되었기 때문에 선의 실천적 수행에 대한 지침서로 꼭 알맞은 것이다. 한편 벽암록은 유현고아(幽玄高雅:그윽하고 고상한)한 선의 경지를 나타낸 문학적으로 세련된 선서이다.

이상과 같이 두 선서의 성격적 차이를 비교해볼 때 비록 무문관이 벽암록에 비해 100여 년 위에 출현했지만 우선 무문관을 다루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운 순서라고 생각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