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순수파동과 직결되는 기쁨
상태바
생명의 순수파동과 직결되는 기쁨
  • 관리자
  • 승인 2007.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남덕 칼럼

어떤 다른 종교보다도 불교는 정진(精進)에 있어서 그 방법의 다양성과 철저함에 특색이 있다고 하겠다. 정진생활을 오랫동안 하여온 구참보살들이라도 언제나 스스로 신참 초발심자처럼 느껴진다는 이유는, 불교에서 알게되는 실로 부사의(不思議)한 부처님의 세계가 너무나 방대한 데 비해서 자기가 체험하고 아는 범위가 극히 제한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날이 갈수록 더 깨닫게 되기 때문일 것이다.

또 설사 다소의 종교적 체험을 가지고 자기 나름대로는 신앙생활을 토대로 삼고 있는 경우라도 이것을 발설만 하면 그 자리에서 몇 방망이든지 얻어맞아야 하는 것이 가풍처럼 되어 있어서 입도 뻥끗 못하는 것이 상례이다. 반야공(般若空) 도리를 이해한다면 현상계에 나타나는 가상가명(假相假名)의 묘사가 무슨 필요가 있으며 언어로써의 표현도 진실을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으니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원칙이 세워진 것이리라.

절에서 행해지는 모든 생활도 이 정신에 입각해서 진행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불필요한 군더더기는 하나도 없다. 우선 말(言語)의 낭비가 없다. 서로 말없이 마음을 통하는 공부인지라(以心傳心), 필요한 말 이외에는 하지를 않는다. 수행인들은 대부분 묵언(默言)표를 가슴에 달았건 안 달았건 묵언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잔잔한 수면(水面)에 돌을 던지는 것처럼 파문을 일으킬까봐 일파재동 만파수(一派 動 萬波水)라, 이 고요한 절 분위기에서는 한 마디의 말을 여간 조심하는 게 아니다.

다음은 물질(物質)에 대한 알뜰함이다. 밥풀 한 알 안 나가게 공양할 때 조심하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일이다. 요즘은 워낙 세태가 물질만능에 물질 흔전만전 시대라 절에도 오염이 되어 들어오는데 그것은 외부인들이 처음 절에 찾아와서 자기가 먹은 음식찌꺼기를 남기는 실수에서부터 시작된다. 절에 오래 있는 사람들은 자기가 먹을 만큼만 집어오는데 초참자일수록 알뜰한 습관이 안 박힌 데다가 식탐(食貪) 그것도 욕심의 일종인데 그것이 조정이 안 되어서 자기한계 이상의 것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절에서 지내는 하루의 일과도 실로 간단명료한 것이니 하루 네 번 참선과 세 번 공양시간만 표시된 일과표가 선방 벽에 다음과 같이 나붙어 있다.

정진 시간표

03시 起床 禮佛入禪 □

05시 放禪 □

06시 朝粥 □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