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도 정화가 아닙니까?
상태바
개혁도 정화가 아닙니까?
  • 관리자
  • 승인 2007.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20주년 기념 연속 대담

진관스님 최근 우리 종단의 무제가 사회적인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종단의 원로이시며 한국불교의 근대사를 한눈에 읽고 계신 석주 큰스님을 모시고 월간『불광』창간 20주년 기념 대담을 갖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오늘의 불교를 얘기할 때 5∼60년대의 불교정화를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정화를 비구 - 대처간의 문제로만 부각시켜 본다면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취처의 강요 등 일제시대의 한국불교에까지 소급해서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1920년대에 출가하시어 한국근대불교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다 겪으신 원로스님으로서 우선 이 일제시대의 얘기를 들려주십시오.

석주스님 글쎄, 나는 잘 몰라요. 이웃나라 사람들이 강성해져서 그네들이 시키는 대로 우리 스님들이 많이 따라 하기도 했지.

진관스님 3·1운동 때, 만해스님이나 용성스님께서는 직접 참여 하셨는데 그외의 다른 분들은 어떠했습니까? 특히 지방에서 본사급 사찰들에서 말입니다.

석주스님 절에서 강원공부한다고 하면 지금의 지식인에 속하는 젊은이들이었어요. 그러니 범어사 같은 데에서는 부산의 지식인이 모여 있는 곳이어서 동래 장날이 사람들이 주도해서 만세운동이 일어났지. 통도사도 마찬가지예요. 양산 장날 통도사 젊은이들이 내려와서 주도했어요.

진관스님 정화 당시에는….

석주스님 당시에는 전국의 절마다 행정은 다 대처승들이 맡았어요. 그래서 입재 때가 되면 20명 혹은 50명씩 제한을 둬 가지고 방부를 받는데 그 이상이 되면 받지를 않아요. 그러니 독신승들이 생각하기에는 수행하는 사람은 우리들인데 양식 걱정 때문에 사람도 받지 않고 하니 불만이 많았지요.

송만암 스님이라고 있었어요. 처음에는 이 스님께서 불국사에서 머무시면서 큰절 주지는 독신승들이 해야 하고 또 수행하는 사람은 큰절에서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면서 아주 소박하게 시작한 것이 정화예요. 이후에 통도사에서 한 번 더 회의를 하고 운허 스님하고 청담 스님이 발기인이 되어서 더 크게 시작됐고 선학원에서 비구승대회를 하고 나서 동산 스님, 금오 스님, 효봉 스님이 가세하면서 이 정화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나게 됐지요.

처음에는 우리 힘이 약하기 때문에 이 박사가 가끔씩 유시를 내려줘서 힘이 되기도 했고, 또 어디서 그런 힘들이 나는지 스님들의 단결력이 컸어요. 그래서 끝까지 싸워서 정화를 한겁니다. 나중에 재판이나 하고 외래의 힘을 받은 것은 우리의 힘이 약했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진관스님 예, 그렇게 정화가 되면서 조계종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조계종이라고 한다면 분명히 태고보우다 아니면 보조국사다 하는 종조를 모셔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것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고 정리가 되어있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일제 당시에도 조계종이다. 임제종이다 하는 이런 논란이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당시의 얘기를 좀 해주십시오.

석주스님 일제때도 그런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그 당시도 종은 조계종이지만 종조에 대해서는 상당히 차이가 많았는데 가령 권상노 씨라든지 김영수 씨 등은 다 역사의 대가들이었는데 태고보우 선사가 종조라고 했고, 이종익 박사나 이불하 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이 이불하 라는 사람이 처음 이 의견을 얘기했지요. 보조국사가 종조라고요. 그때 세력으로 봐서는 권상노 박사와 그이네와는 비교가 되지 않았어요. 그래서 아마 나중에 정화를 하고 나서 권상노 박사나 그이네들이 다 죽었어도 마찬가지였는데 대부분은 보우 선사가 우리 종조다 하고 생각했었어요. 돌아가신 종정 스님도 그렇게 했고. 나는 아직까지 그런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고 봐요.

그런데 이불하 씨나 이종익 박사는 그이네 나름대로 아주 열열하게 자기네 주장을 폈어요. 그네들에게는 그네들대로의 증거가 있었어.

진관스님 예, 이 얘기는 이쯤하겠습니다. 스님께서는 해방 후에 혁신불교운동을 하시고 또 정화운동도 하셨는데 이 두 가지가 접목되는 어떤 접점 같은 것이 있었습니까?

석주스님 혁신운동은 해방직후에 어떻게서든 불교를 혁신시키자는 모토로 청년들이 모인 것이지. 그때는 무슨 종조문제도 없었고 정화문제도 없었습니다. 그저 불교를 잘하자는 모임이었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