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야식(阿賴耶識)
상태바
아라야식(阿賴耶識)
  • 관리자
  • 승인 2007.08.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층교학해설`유식학과 인간성(17)

     선각자들이 깨달은 아라야식

  위(전호)에서 안식(眼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등 칠식을 살펴 왔다. 이 일곱 가지 식(識)은 우리 인간의 정신활동에 온갖 심부름을 다하는 심식이다. 눈으로 색깔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로 냄새를 맡고, 혀로 맛을 보고, 몸으로 촉감을 느끼는 등 전오식(前五識)을 오근(五根)을 통하여 객관계를 부지런히 출입하면서 접촉하고 또 선(善)과 악(惡)을 대하며, 고(苦)와 낙(樂)을 맛보며 일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 전오식만으로는 결정적인 판단과 분별력이 부족하므로 여기에는 반드시 의식(意識)이 가담하여 선악과 고락을 구별해 준다. 그리고 내면세계의 과거·현재·미래사를 생각하고 추리하며 예측하고 판단하며 온갖 인간의 행동을 주관하는 것이 의식이다. 이와 같은 의식이 사물의 가치를 판단하고 선악의 행동을 하고자 결정을 내릴 때 우리 인간의 움직임은 시작되고 또 결말을 짓게 된다. 그러므로 의식의 정화는 매우 필수적인 것이다.

  다음 말나식(末那識)은 본래 인간이 천부적으로 보존하고 있는 불성(佛性)과 진여성(眞如性)인 본성에 대한 착각을 야기하여 무지의 근본이 되는 무명을 형성하는 최초의 정신이다. 이로 말미암아 여타의 심식도 온갖 번뇌를 야기하게 되며 우리 인간의 마음은 선성과 악성으로 갈라지는 분별의식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마음을 유루심(有漏心)이라 하며 유루심이 잠재하고 있는 한 선업과 악업을 조성하면서 살게 된다. 그러므로 여러 심식에는 작용에 해당하는 심소(心所)가 있으며 심소는 51종(五十一心所)이나 있어 인간정신의 활동은 다 여기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성질을 가진 칠전식(七轉識)과 식에서 발생되는 심소의 활동은 모두 업력이 되는 것인데, 그 업력은 과연 어디에 보존되어야만 하는가. 그리고 우리 인간의 육체와 정신은 무엇에 의하여 유지되며 수명도 무엇에 의하여 좌우되는가에 대한 유식학자들의 추적에 의하여 비로소 아라야식(alaya-vijnana)이라는 정신체가 발견되었다. 다시 말하면 이 아라야식이 앞에서 말한 정신(七識)과 육체(五根)를 유지시켜 주고 또 이들 정신과 육체의 황동에 의하여 조성되는 업력도 보존하여 다음의 결과를 받도록 해주는 주체가 곧 아뢰야식임을 인도의 무착보살(無着菩薩, AD.4세기경)을 비롯한 선각자들은 깨달은 것이다.

  이제 무착보살을 비롯한 여타의 선각자들이 저술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과 섭대승론(攝大乘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성유식론(成唯識論), 성유식논술기(成唯識論述記)등 여러 유식학 계통의 논서 들에 의하여 아라야식의 내용을 하나하나 해설하기로 한다.

  아라야식(阿賴耶識)은 여러 번역자에 따라 아리야(阿梨耶, 阿(?)耶), 아라야(阿羅耶) 등으로 표현된 것이 많다.

  그 뜻은 번역자들에 의하여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같다고 볼 수 있다. 한 말로 말해서 아라야식(阿賴耶識)은 중국의 현장법사(玄奘法師, 600~664)가 번역한 것으로 이른바 신역(新譯)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