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불교의 가늠길
상태바
대중불교의 가늠길
  • 관리자
  • 승인 2007.07.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두수상

   하마 20여년 전의 일이다. 해남 대흥사에 전해 오던 귀한 서첩이 저자에 나와 이목을 끌었었다. 그 내용은 거의가 완당(阮堂 : 金正喜)이 초의(草衣 : 長意恂)스님에게 써보낸 글인데, 그 글씨야 새삼 용훼의 나위도 없지만 그 꾸밈새가 하도 정갈스러워서 첫눈에 초의스님의 손때가 묻었음을 짐작케 했었다.

   그 속에서는 “도는 받는 것이지 전할 수는 없다”는≪초사≫〈장유(壯遊)〉편의 대문이라든가, 원(元)의 산수화의대가 곽희(郭熙)와 소나기 그림으로 유명한 이성(李成)에 관한 대련이 그야말로 값져 군침을 절로 삼켰었다.

   더욱이 내 눈을 사로잡은 것은 초의스님에의 사시(私諡)대각보제존자(大覺普薺尊者)였다. 정녕 희한한 일품이었다.

   큰 깨우침에는 워낙 잗달은 껄끄러움과 자자분한 부끄러움도 없는 법이니 오로지 불법의 깃대를 우뚝 세우고 어서 속히 법계에 올라서 크게 종풍을 불러일으켜 8도의 승속을 바로잡을 일뿐이다. 다른 데는 눈을 돌릴 겨를이 없으니 빨리 율령대로 거행할지어다(원문은 생략)

실로 도타운 거사다운 당부였다.

   승유정책으로 말미암아 가뜩이나 낮보던 승가였는데 차마 현상유지를 위한 빌붙음이 매양 싫었던 완당이었다. 따라서 시문은 물론 계율 또한 엄전한 초의스님에 빌붙는 신심이 글자 밖에 사무쳐 있어 어지럽던 당시의 승속을 거울처럼 반사하는 빛저운 사시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