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정신건강
상태바
도덕과 정신건강
  • 관리자
  • 승인 2009.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인과 정신위생

조금 시기가 늦긴 했으나 우리나라에서 6.3사태 등이 일어날 무렵, 미국에서는 월남전을 반대하는 반전학생 데모가 판을 치게 되었고 마침내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수치스러운 철수를 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1970년대의 중국의 문화혁명은, 학생들이 당의 권위마저 팽개쳐버린 반사회적 운동이었다. 이렇게 보면 20세기의 후반기는 그야말로 기존사회의 체제, 전통, 질서 등에 대한 전면적 도전이 일어난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어째서 이런 반문화(Anti Culture), 반사회(Anti Social), 반질서 등의 운동이 세게 도처에서 일어나야 했는가? 물론 한 마디로 답변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그러나 특히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류가 쌓아놓은 종교, 도덕, 가치체계 등이 무너지게 되었던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코페루니쿠스의 지동설,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등은, 당시까지 절대적 권위를 가졌던 천주교 교리에 대한 일대 충격을 안겨주었던 것이 사실이다.

19세기에 와서 니체와 C. 다윈 그리고 정신분석의 창시자 S.프로이드 등은 그나마 비틀거리며 서있던 서양의 신을 완전히 넠.아우트 시킨 셈이다. 특히 프로이드의 무의식적 성욕설, 리비드설 등은 종전까지의 서구의 위선된 도덕체계를 완전히 무너뜨린 결과를 가져왔다.

20세기를 지나오면서 서양인들은 거추장스러운 도덕율, 규범, 신앙의 가르침, 철학적인 제시 등 보다는 자신의 본능적인 욕구 제촉심, 자아충족심 등에 사로 잡히게 된 것이 사실이다. 바라는 일은 무엇이나 충족시키자.

자신의 내적인 갈등이나 욕구는 억압할 필요가 없다. '할수있는 일이면 다 해보자'하는 것이 서양인들의 공통된 심리로 부각하게 된 것이다. 오토 페니켈(Otto Fenichel)도 주장한 바와 같이, 백년 전 프로이드 시대에는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을 너무나 억압했고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