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교의 문제점과 지향점
상태바
포교의 문제점과 지향점
  • 관리자
  • 승인 2009.07.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획/한국불교, 무엇을 할 것인가

흔히 불교라 하면 소풍이나 수학여행으로 간혹 절에 가서 구경을 한 인상으로 남아 있을 지도 모르겠다. 혹은 오래 된 기와지붕이나 누더기 옷차림의 목탁을 두드리는 승려를 연상하고 그들이 속세와 다른 세계에서 살며 신비스러운 도술이라도 부릴 것이라는 생각을 할 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 불교인의 입장에서 볼 때는 포교정신의 부재가 불교를 현 사회와 괴리된 것이라는 인상을 주고 있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어찌 보면 화석과 같은 무념무상(無念無想)을 종(宗)으로 삼기 때문이거나 자기 생활에 급급하여 실천적 행위인 포교에 등한시하고 있지 않은 가도 생각된다.

포교! 이것 말고 승려가 할일이 무엇이 있겠는가? 있다면 수도(修道)나 행정(行政)이 있을 뿐이다. 만일 이 세 가지 중에 현주소가 없는 사람은 굳이 청규(淸規)를 안 들먹여도 부처님 밥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진실로 포교는 산보살의 실천도량이며, 성불(成佛) 바로 그 현장인 것을 알아야 한다.

󰊲포교학의 정립

포교는 채플이나 선교(宣敎)와는 분명히 구별되는 깊은 뜻의 정립이 학(學)으로 필요하다. 포교가 중생구제에 그 의미가 있다면 선교는 피조구원(彼造救援)에 그 의의가 있을 진대 철학적 기반에 차이가 클 것이다. 궁극에 가서 구원하는 자와 구원된 자의 양자 간의 이원적(二元的) 지속관계유지가 아닌, 포교자와 피포교자가 둘이 아닌 합일(合一)의 경지에 이르르게 됨이 포교가 완성된 단계일 것이다. 방법론적으로는 경전이나 칼 중 택일이 아닌, 진리의 강가에까지 중생인 말을 끌고 가서 이를 마시게 하는 입장인 지적(智的)인 자세가 우리 포교의 특색일 것이며 포교자의 취할 바 자세인 것이다. 하여간 이러한 포교학의 넓고 깊은 문제는 정립되어야 할 중차대한 현실적 과제라고 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