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런 우리의 정월절식
상태바
자랑스런 우리의 정월절식
  • 관리자
  • 승인 2009.06.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교식

새해를 맞으면서 잊혀져가는 우리의 자랑스런 전통음식을 생각 해본다. 옛부터 달마다 명절을 정하고 명절마다 갖가지 음식을 차려 먹었다. 또 계절에 따라 나오는 새로운 식품을 즐겨 먹기도 했다. 그래서 명절마다 먹는 음식을 절식이라고 하고 계절마다 먹는 음식을 시식(時食)이라 했다.

한해 열두달중 제일 큰 명절은 정월 초하루 설날과 대보름 그리고 팔월 한가위이다. 옛날에는 설맞이를 위해 설 되기 한달전부터 갖가지 한과(韓果)를 만들며 설빔준비에 바빴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서양풍습이 들어와 한때 우리의 "설음식"은 밀려나다시피 되어 한과를 먹는 집은 드물고 대신 양과를 선호하게 되었다. 그러나 요즘은 옛것을 찾자는 운동이 되살아나 우리의 전통음식을 전시하기도 하고 백화점, 시장 등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정월 절식으로는 "설날 "초삼일 "대보름"에 먹는 음식이 있는데 설날의 대표음식으로는 떡국과 강정, 누름적, 나박김치, 단술, 수정과, 만두국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약식, 약과, 다식, 전과, 전야, 빈대떡, 편육, 족편, 떡찜, 떡볶이, 생치구이, 전복초, 숙실과, 생실과, 동치미, 젓국지, 장김차등 각 가정형편에 따라 해먹는 많은 음식이 있다.

정월 삼일은 당귀말점, 증병(승검초편), 꿀찰떡, 봉오리떡(두텁떡), 오리알산병, 삼색주악, 각색단자, 오곡밥, 각색나물, 약식, 유밀과 원소병, 부럼을 먹는다.

대보름날에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먹는 오곡밥, 복을 부른다는 뜻으로 마른 취나물, 김에 밥을 싸서 먹는 "복쌈",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 하여 먹는 묵나물밥(陳菜食), 까마귀 제삿날(烏忌日)에서 유래된 근신한다는 뜻에서 먹는 찰밥과 잡채, 또 이른새벽에 부럼이라하여 생밤, 호도, 은행, 잣등의 딱딱한 껍질을 가진 과실을 깨물면 일년 내내 무사태평하고 이가 튼튼해지고 종기같은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 해서 먹는다. 그리고 이날 아침에는 데우지 않은 청주 한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해서 귀밝이 술을 마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