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학 나의 불교
상태바
나의 문학 나의 불교
  • 관리자
  • 승인 2007.1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7주년 기념 강연 요지

     [1] 불교는 대수학(代數學)

   서양 사람들은 불교를「The philosophy of Happiness」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대철학자들, 인도사상가들의 학서를 읽어보면, 서양적인 합리적 해석으로서 불교 이상의 행복 철학이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과학적인 머리로 해석할 때 불교는「행복의 철학」이 되는 것입니다. 행복의 철학으로서 이 이상의 금성철벽(金城鐵壁)이 없다고 하는 그것이 서양에 있어서의 불교에 대한 생각입니다. 그러나 저는 불교를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불교는 행복의 철학, 무엇 무엇의 철학이라고 하는 구분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철학의 한 파, 어떤 카테고리 속에 넣어 생각할 수 없는 큰 것입니다. 모든 사상과 철학을 초월하여 그것들을 포용하는, 이 세상에서 제일 크다는 그 우주조차도 포용하고 있는 큰 진리입니다.

   그러나 불교인 아닌, 더구나 실제 만지고 보아서 증명해야만 그것을 인정하는 서양인들이 그렇게나마 이해해 준다는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입니다. 그렇게라도 이해를 하기 때문에 지금의 불교가 세계 불교로 뻗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은 또한 불교를,「행복의 대수학(代數學)」이라고 말합니다.

   대수라고 하는 것은 산술, 기하, 미분, 적분, 통계 등 수학의 여러 분야중의 하나입니다. 가령 2+5=7이다 하는 계산을 산술이라고 하는데, 이 산술의 셈에 있어서 태양과 지구와의 거리, 천체와 천체의 운동에 관한 계산 등을 함에 있어서는 그 산술에 쓰이는 숫자가 엄청나게 큽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큰 숫자 대신 거리는 A, 시간은 B라는 식으로 숫자대신 문자로 표현합니다. 그리하여 그 문자로서 x라는 답을 냅니다. 이렇게 숫자를 대신하여 문자로 계산하는 것을 대수학이라 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정교하게 계산된 대수학이라 하더라도 그 문자 대신 구체적인 실수를 넣어야만 우리가 원하는 실제의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불교를 서양 사람들의 표현 방식으로 대수학이라 한다면 거기에 구체적인 수를 대입하여야만 우리는 행복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부처님이 설하신 팔만대장경 경문 전체는 그 대수학의 공식인 셈입니다. 그러나 공식만으로는 답[행복]을 얻을 수 없습니다. 거기에 실제 수[실천]을 대입하여야만 합니다.

   이 수를 대입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분이 바로 부처님의 제자이신 스님들이십니다. 스님들은 부처님 법문을 중생들에게 설해주고, 따르는 방법을 가르쳐 우리 중생들을 부처님께로 인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또한 그 방법에 따른 본인들의 실행이 필요합니다. 그래야만 구하고자 하는 궁극의 답을 얻는 것입니다.

   여기서 문학과 불교의 얘기로 들어갑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