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등불
상태바
지혜의 등불
  • 관리자
  • 승인 2007.10.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인의 불교신앙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시기 직전 ‘너희들은 저마다 자가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기를 의지하여라(自燈明).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에 의지 하여라(法燈明)’고 말씀하셨다. 여기에서 ‘자기자신’이란 모든 사란이 지닌 부처님 성품<佛性>으로서 모든 것을 다 갖춘 <能含萬法>지혜를 말씀하신 것이다.

우리들은 여석 개의 창문<六根>을 통해 세상과 접하면서 좋고 싫은 구별을 짓고 좋으면 끌어당기고 싫으면 밀쳐 낸다. 이러한 애증이 반복되고 서로 얽히면서 내가 좋아하고 내가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의 그물이 나를 옭아매 버린다. 마치 누에가 제가 내뿜은 실에 갇혀버리는 것과 같다.

왜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내게 될까? 부처님께서는 그 원인이 세 가지 해로운 마음<三毒心>에서 비롯된다고 말씀하셨다. 즉 필요한 것 이상을 가지려 하고<貪心>, 서로 대립하여 화를 내며<瞋心>, 고정하여 변하지 않겠다는 어리석은 마음<痴心>이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해로운 마음은 <나>라는 고집이 잇기 때문에 생긴다. 우리는 <나>라는 말이나 생각을 별 깊이 없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돌이켜 보면 내가 좋아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괴롭고, 싫어하는 것을 밀쳐내지 못하면 괴로우며 쾌락을 얻어도 뒷맛은 항상 쓰다<苦>. 또 일체의 사물들은 여러 가지 성분이 모여서 된 것이니 역시 빈 것이 된다<空>. 또 모든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여 버리니 항상한 것이 없고<無常>,따라서 나의 소유물이나 <나>라는 것도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변하여지고 스러져 버리는 것이니 나라고 고집할 것도 없다<無我>.

이렇게 부처님 말씀<佛經>에 의해 들은 바를 알게 되고<聞慧>, 생각하여 알게 되어<思慧>분석적인 방법으로 공(空)을 알 수 있다<析空>. 그러나 쌀밥을 아는 것만으로는 배가 부르지 않고 먹어야 배가 부른 것처럼 공을 아는 것만으로는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 생사윤회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없애고 생사의 굴레를 벗어나려면 공(空)을 닦아서 알고<修慧> 공을 체험<體空>해야 한다.

수레바퀴를 만들 때 나무바퀴가 너무 크면 쇠테 속에 들어가지 않고 나무 바퀴가 너무 작으면 헐거워서 쇠테에서 빠져버린다. 그러므로 좋은 수레바퀴가 되려면 쇠테 속에 들어갈 정도로 나무바퀴가 작아야 되고 헐거워 빠지지 않을 정도로 나무 바퀴가 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을 아는 것은 세 살 먹은 아이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로 나무바퀴를 잘 깍아 훌륭한 수레바퀴를 만드는 것은 오랜 체험과 노력으로 숙련된 장인 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우리가 의지 할 바인 반야지혜의 등불은 공을 체험한 후에만 드러난다. 반야(般若)는 일체의 허망함을 여의고 우리들에게 본래 갖추어진 증(證)할 바인 이체(理體)를 가리키는 실상반야(實相般若), 실상을 비추어 보는 참지혜인 관조반야(觀照般若), 모든 사물을 분별하는 지혜인 방편반야(方便般若 또는 文字般若) 등 3반야가 있다. 또 반야지혜의 대상이 되는 일체만물을 경계반야(境界般若)라 하고 모든 단계의 지혜들을 통틀어 권속반야(眷屬般若)라고 하여 이 둘을 포함하여 5종 반야(五種般若)라고도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