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이 무엇입니까?
상태바
선이 무엇입니까?
  • 관리자
  • 승인 2007.10.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어로 배우는 불교

Q : What is Seon?
A: Seon is the Chinese form of the Sanskrit word Dhyana. Its practice was brought to China by Bodhidharma.

Q : What does Dhyana practice?
A: Dhyana incorporates the practice of tranquility (calming the motions of mind) and insight (observing the nature of things).

Q : Is there any specific method for practices of tranquility and insight?
A: There is the practice of Samatha and Vipassana. Samatha (Chinese:止) is to develop calm and concentration of the mind from all distractions and motions. Vipassana (Chinese:觀) is to see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including mind through deep awareness.

Q : What benefit does Samatha practice confer?
A: According to the Aguttara Nikya, the mind is cultivated. All lust is abandoned as the result from the cultivated mind. A mind defiled by lust is not set free. The freedom from lust can lead mind into tranquility.

Q : What benefit does Vipassana practice confer?
A: Insight is cultivated. If insight is cultivated, all ignorance is abandoned. The freedom from ignorance can lead mind into insight.

Q : What is Samadhi?
A: Samadhi is a collective state of the mind on one point.

Q : Then how different is Samadhi from Samatha?
A: Samadhi can be called the fruit of Samatha. For, Samatha is to aim dwelling in tranquility and in one-pointedness of mind. Samadhi is the intensified practice of samatha.

Q : How different is Samadhi from Dhyana?
A: The state of Samadhi can beattained through the practice of Dhyana. Dhyana be longs to the realm of form. Samadhi belongs to the realm of formlessness. However, Samadhi involves an intensification of the elements of tranquility. In that sense, Samadhi emphasizes the elements of Samatha more than the elements of Vipassana. On the other hand, Dhyana focuses on the practice of both tranquility and insight equally.

Q :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Seon and Vipassana?
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 of the word Seon (Sanskrit: Dhyana), Vipassana is the pre-condition of Seon practice.

Q : Does Seon practice aim to attain Samadhi first?
A: Yes. However, you have to attain Dhyana prior to attaining Samadhi. Vipassana is a necessary condition along with Samatha for Dhyana, or Seon practice.

Q : I heard Seon has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Dhyana by reciprocating mutual influences with Taoism.
A: Seon emphasizes the general Mahayana viewpoint, such as emptiness, thusness, non-duality, Tathagata-garbha and Buddha-nature. Therefore, wisdom in Mahayana Buddhism is based on the enlightenment of such concepts. On the other hand, Vipassana emphasizes an insight into the threefold nature of things: impermanence, non-self, and suffering. Compassion in Buddhism arises based on the insight into such concepts.

Q : I thought we can gain wisdom through Vipassana.
A: You are right. As the Sixth Patriarch Sutra states, wisdom and compassion are not independent two. They are one. True wisdom is compassion. True compassion is wisdom. That is, Seon and Vipassana are two-sides of a coin as is wisdom and compassion. Wisdom, which arises based on the enlightenment of emptiness, non-duality, and Buddha-nature, is related with absolute truth. Compassion, which arises based on the insight into the impermanence, non-self, and suffering, is related with relative truth.

Q : Then, I heard some Seon practitioners tend to disregard the necessity of Vipassana practice.
A: Some beginners in Seon practice try to achieve Samadhi without going through Dhyana practice including tranquility and insight. According to the Treatise on the Awaking of Faith in Mahayana, Samatha and Vipassana should be practiced simultaneously. If one practices only Samatha, her or his mind becomes depressive and lazy. As a result, practitioners lose compassion and enjoyment of wholesome deed.

문: 선(禪)이 무엇입니까?
답:선은 산스크리트어 ‘드야나(Dhyana, 선정)’에 해당하는 한자어입니다. 이 수행은 보리달마 대사에 의해서 중국으로 전해졌습니다.

문: Dhyana(선정)는 무엇을 수행하는 것입니까?
답:선정은 들뜬 마음을 가라앉히는 고요함의 수행과 사물의 본질을 관찰하는 통찰수행을 병합하고 있습니다.

문: 고요함과 통찰수행을 위한 특별한 방법이 있는지요?
답: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이 있습니다. 한자로 멈춤을 뜻하는 지(止)에 해당하는 사마타는 분산되고 움직이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집중을 발달시킵니다. 한자로 ‘보다’를 뜻하는 관(觀)에 해당하는 위빠사나는 깊은 각성을 통해서 마음을 포함한 일체 제법의 본질을 보는 것입니다.

문: 사마타 수행은 무슨 이익을 주는지요?
답: 증일 아함경에 의하면 마음이 배양됩니다. 마음이 배양됨으로써 모든 욕망이 버려집니다. 욕망에 오염된 마음은 자유롭지가 않습니다. 욕망으로부터의 자유가 마음을 고요함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문: 위빠사나 수행은 무슨 이익을 주는지요?
답: 통찰력이 배양됩니다. 통찰력이 배양되면 모든 무지가 버려집니다. 무지로부터의 자유는 마음을 통찰력으로 이끌어줍니다.

문: 삼매가 무슨 뜻인지요?
답: 삼매는 마음을 한 곳에 모은 상태입니다.

문: 그러면 삼매는 사마타와 어떻게 다른가요?
답: 삼매는 사마타의 결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마타는 마음을 고요함에 머물게 하고 한 곳에 집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행이고 삼매는 그런 사마타의 수행이 강화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 삼매와 선정은 어떻게 다른지요?
답: 삼매의 상태는 선정수행을 통해서 도달될 수 있습니다. 선정은 색계에 해당하고 삼매는 무색계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삼매는 고요함의 요소를 강화하고 극대화하는 수행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삼매는 위빠사나의 요소보다 사마타의 요소를 더 많이 강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선정은 고요함과 통찰수행을 똑같이 강조합니다.

문: 선과 위빠사나는 어떤 관련성이 있습니까?
답: 선이라는 말의 어원적 측면에서 보면 위빠사나는 선수행의 전제조건입니다.

문: 선수행은 삼매를 얻는 것이 일차적 목표가 아닌가요?
답: 맞습니다. 그러나 삼매를 얻기 전에 먼저 선정을 얻어야 합니다. 사마타와 함께 위빠사나는 선정, 즉 선수행을 위한 하나의 필요조건입니다.

문: 선은 도교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원래 선정의 의미와는 다르게 발전되어왔다고 들었습니다.
답: 선은 공(空), 진여(眞如), 불이(不二), 여래장(如來藏), 불성(佛性) 등과 같이 일반적인 대승의 관점을 강조합니다. 그런데 대승불교의 지혜는 그와 같은 개념들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위빠사나는 무상(無常), 무아(無我), 고(苦)의 삼법인(三法印)에 대한 통찰을 강조합니다. 불교의 자비는 그와 같은 개념들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일어납니다.

문: 저는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서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답: 맞습니다. 육조단경에서 말하듯이 지혜와 자비는 독립된 둘이 아니고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지혜가 자비고 진정한 자비가 바로 지혜입니다. 즉, 지혜와 자비의 관계처럼 선과 위빠사나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기 때문입니다. 공·불이·불성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지혜는 절대적 진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무상, 무아, 고통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지혜는 상대적 진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문: 그런데 어떤 선수행자들은 위빠사나 수행의 필요성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답: 그것은 선수행을 하는 초심자들이 정(定)과 혜(慧)를 병행하는 선정수행을 거치지도 않고 곧바로 삼매를 얻으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대승기신론에 의하면 사마타와 위빠사나는 같이 훈련되어져야 합니다. 만일 사마타만을 훈련하면 마음이 가라앉고 게을러진다고 합니다. 그 결과 수행자는 자비심과 선행을 즐기는 마음을 잃어버리게 된다고 합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