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수행할 수 있는 불교를 전하다
“모든 불교는 다 삶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말한 틱낫한 스님은 참여불교(engaged buddhism)라는 용어를 창조하고 세계 곳곳에 그 뿌리가 내리도록 하였다. 참여불교 하면 흔히 극단적인 사회운동을 연상하게 되고 특히 베트남전 때 몸을 불태워 소신공양을 올린 스님들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그런 극단적인 행동은 수많은 목숨이 매일 희생되는 전장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전쟁을 끝내야 한다고 외치는 이들의 목소리를 아무도 들어주지 않고 언론마저 외면하자 마지막으로 택한 수단이었다.
현재 참여불교는 서구에서 대중화되고 있는 재가자 중심의 생활불교로 자리를 잡았다. 다시 말해서 절에 가면 좋은 마음을 닦는 것이고 집에 돌아오면 다시 생활인의 자세로 돌아오는 종교 따로 생활 따로의 삶에 종언을 고한 것이다.
왜냐하면 붓다가 처음 진리를 설할 때의 목적이 민중의 삶의 고통을 덜어주고자 함이었고 그래서 붓다의 설법에서는 늘 삶 속에서 마주하는 고통을 어떻게 하면 덜어내고 없앨 수 있는지가 주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교의 진리와 수행법을 밥먹고 잠자고 일하는 데 늘 적용시키자는 것이 참여불교가 하고자 하는 것이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