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신행공덕] 자비(慈悲)의 공덕 2
상태바
[불교신행공덕] 자비(慈悲)의 공덕 2
  • 마성 스님
  • 승인 2007.10.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비의 의미

팔리어 멧따(Metta)는 자애, 우정, 선의, 인정, 동료애, 우호, 화합, 비공격적임, 비폭력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용어이다. 팔리 주석가들은 멧따를 남들의 이익과 행복을 간절히 바라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본질적으로 멧따(자비)는 사랑과 우정이 넘치는 이타적 태도이며, 이런 점에서 이기주의에 바탕을 둔 단순한 우호적임과 구별된다. 멧따 덕분에 사람은 공격적이기를 거부하고 가지가지의 신랄함과 원한과 증오심을 버리게 되며, 그 대신 남들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우정과 친절미와 인정이 있는 마음을 키우게 된다. 참다운 멧따에는 이기심이 끼어 들 여지가 없다. 그것은 또한 마음 속에 따뜻한 동료애와 동정심 그리고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그와 같은 감정은 수행을 거듭함에 따라 끝없이 확대되어 모든 사회적, 종교적, 인종적, 정치적, 경제적 장벽을 무너뜨리게 된다. 참으로 멧따야말로 보편적이고 비이기적이며 일체를 포용하는 사랑이다.

사람들에게는 멧따의 수행자야말로 안녕과 안전을 축복해주는 감로의 병(甁)이다. 어머니가 자식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숨마저 버리듯이, 멧따는 역시 주기만 할 뿐 어떤 보답도 바라지 않는다. 자기의 이익을 채우려 드는 것은 인간의 원초적인 본성이다. 이 본능이 남의 이익과 행복을 늘려주려는 소망으로 승화될 때, 자기 본위의 근원적 충동이 극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의 이익을 전체의 이익과 동일시하게 됨으로써 그 마음은 보편적이 된다. 이러한 변화를 이룸으로써 사람은 자신의 안녕 또한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증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멧따는 자식을 위해 온갖 고난을 감내하는 어머니의 그 한없이 인내하는 마음이며, 자식이 아무리 나쁜 짓을 저질러도 탓하지 않는 어머니의 그 끝없이 보호해 주는 태도이다. 또한 벗의 행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려는 친구의 그 마음가짐이다. 이 같은 멧따의 특성들을 자비 수행(metta-bhavana), 즉 보편적 사랑에 대한 명상을 통해 충분히 갈고 닦는다면 그 사람은 자신과 남들을 모두 지켜내고, 보호해 주고, 치유할 수 있는 엄청난 내면적 힘을 반드시 얻게 된다.

멧따의 보다 심오한 뜻은 제외하더라도, 멧따는 당장 우리가 이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될 필수적 덕목이다. 온갖 파괴적 성향들에 직면하고 있는 지금과 같은 세상에서 아마도 유일하게 화합과 평화, 상호 이해를 가져올 수 있는 건설적인 수단이라면 그것은 바로 몸과 입과 마음으로 행하는 멧따일 것이다. 멧따야말로 모든 고등 종교의 근본 교리를 이룰 뿐 아니라 인류의 복리를 증진시키려는 그 모든 인정 어린 행위의 기본 원리를 이루는 최고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자비의 힘

자비를 행하면 스스로 얻는 바 이로움이 많은 것은 더 말할 여지도 없이 분명하다. 안녕, 건강, 마음의 평화, 밝은 모습, 그리고 모든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랑과 선의 등이야말로 자비관을 닦아서 얻게 되는 크나큰 인생의 행복이다.

그러나 더욱 경이로운 것은 자비가 주위환경과 다른 존재들에게 미치는 효과이다. 이 자비의 영향을 받는 존재에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동물과 천신들까지도 포함된다. 진실로 자비의 힘은 이루 다 말할 길이 없다. 팔리경전에 대한 주석서는 승려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오로지 비이기적 사랑인 자비의 힘만으로 무기나 독을 위시한 갖가지 위험을 극복해 낸 얘기를 얼마든지 담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