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가출, 종지부를 찍다
상태바
끝없는 가출, 종지부를 찍다
  • 관리자
  • 승인 2007.09.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이 만난 사람/소설가 김성동 씨

오대산 중턱의 낡은 토굴에서 만난 김성동 씨는 매우 슬퍼보였다. 보살의 비원(悲願)이 서렸다고 해야 할까. 끝없는 가출, 종지부를 찍다 문득 한 시인의 말이 떠올랐다.

“김성동은 머리를 길러서도 언제나 스님. 미귀(未歸)의 나그네 설움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길바닥도 역시 무문관(無門關)이다.”- 김지하” 그럭저럭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그저 한 세상 살아가는 것이 평범한 중생들의 살림살이일진대, 문학과 삶 속에서 인생의 실상을 추구해가던 작가가 이제 세속 나이 오십 중반에 재출가를 꿈꾸며 산에 든 것은 무엇 때문일까? 책장 옆에 써붙인 ‘비사난야〔非寺蘭若: 절은 아니로되 난야(삼림을 뜻하는 범어, 비구가 숲 속에 살았기 때문에 후에 변하여 寺院의 뜻으로 쓰임)〕 미륵사상연구소’라는 글씨와 옆방에 촛대, 향로 등속과 함께 정성스레 모셔 놓은 미륵불…그것만으로도 지난 해 5월 출간된 그의 본격구도소설 『꿈』과 얼마 전 주인공 법운이 재입산하는 것으로 결말 부분을 초판과는 정반대로 개작해 화제가 되고 있는 개정판 『만다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작가보다는 수좌로 살고 싶었다 .

“늘 임시정거장에 있는 것같이 살았지요. 불교, 부처라는 말만 들어도 마음이 설레입니다. 그런데 내가 왜 불교를 비방하겠어요. 마음은 늘 수좌이고 싶었어요.” ‘다시 태어나도 인생의 근본문제를 뚫어내기 위해 온몸을 밀고 들어가는 수좌로서의 삶을 살고 싶다’는 김성동 씨, 산문에서 추방된 일이 얼마나 큰 상처였을지 상상이 간다.

짧게나마 그의 약력을 되짚어보면, “서라벌 고교 3학년 때 19세의 나이로 출가하여 10여 년간 불문(佛門)에 들었다가 1976년 하산하였다. 1975년 「주간종교」 종교소설 현상모집에 단편소설 「목탁조(木鐸鳥)」가 당선되었지만 불교계를 비방했다는 이유로 등록하지도 않았던 승적에서 제적당하기도 했다. 1978년 중편소설 『만다라』로 한국문학신인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하였고, 이듬해 장편으로 개작한 만다라를 출간하여 문단과 독서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85년 제4회 신동엽창작기금, 1998년 제7회 행원문학상을 받았다. …”

하산한 지 삼십여 년, 가정을 꾸리고 글을 쓰고 유명 작가가 되었어도 여전히 운수납자이길 원하는 그가 슬프도록 아름다워 보였다.

화두는 순일한가?

10대 후반, 고등학교 졸업도 하기 전에 무엇이 그로 하여금 산문에 들게 한 것일까?

“삶도 막막했고, 내 인생에 가장 큰 문제였던 아버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은 그 길밖에 없었지요.”

그의 아버지는 일제시대 독립운동을 했고, 해방 후엔 좌익활동을 하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사상범은 모두 처형하라’는 지시로 대전형무소에서 학살당했다. 연좌제가 시퍼렇게 살아있던 시절, 아버지의 이력 때문에 옴짝달싹할 수 없었던 아들은 ‘왜 사는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번민했다. 그리고 ‘답답하고 힘겹기만한 오탁악세의 이치와 삼라만상의 참된 이치를 막힘없이 두루 깨우친 부처가 되어 이 세상의 온갖 악을 멸하고 선을 받들어 행하기’ 위해 산문에 들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