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상태바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 관리자
  • 승인 2007.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의 세계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은 『육조단경(六祖壇經)』, 『법보단경(法寶壇經)』 등으로 불린다. 특히 돈황본의 경우는 『남종돈황최상대승마하반야바라밀경육조혜능대사어소주대범사시법단경일권 겸수무상계홍법제자법해집기(南宗頓敎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慧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一卷兼受無相戒弘法弟子法海集記)』, 대승사본은 『소주조계산육조대사단경(韶州曹溪山六祖師壇經)』의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단순히 『단경』이라고만 부르기도 한다.

이것은 중국에서 형성된 선의 어록이면서도 유일하게 ‘경(經)’이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곧 부처님의 설법만큼이나 그 권위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선종사상사에서 『단경』만큼 널리 읽히는 책도 드물다. 그만큼 선문에서 차지하는 단경의 위상은 높다. 따라서 예로부터 이에 대한 주석과 해설도 갖가지여서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흔히 단경의 원본을 그 계통에 따라 5종으로 나눈다. 곧 돈황본(敦煌本)·흥성사본(興聖寺本)·대승사본(大乘寺本)·덕이본(德異本)·종보본(宗寶本) 등이다. 지금 여기에서 살펴보는 종보본의 경우 『명장본육조단경(明藏本六祖壇經)』으로 불리는데 1291년 중국의 남해풍번광효사(南海風幡光孝寺)에서 종보(宗寶)가 개편한 것으로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48권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반야진성이 본래부터 모든 사람들에게 구족되어 있다는 것이고, 정과 혜는 본래 둘이 아니라 등잔과 등불빛처럼 본체와 작용의 측면이라는 것이며, 좌선은 밖과 안으로 흔들림이 없는 것이고, 선과 정도 밖과 안으로 경계와 유혹에 흔들림이 없는 경지이며, 참회는 자기의 성품 속에서 이루어지는 무상참회가 진정한 발로라는 것이다. 이 밖에도 돈점에 관한 내용과 무념(無念)과 무상(無相)과 무주(無住)의 금강경 사상에 근거한 철저한 자성법문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 구성은 먼저 몽산덕이(蒙山德異)의 서(序)·불일계숭(佛日契嵩)의 찬(贊)이 있다.

다음 본문으로 행유품제일(行由品第一) 이하 부촉제십(付囑第十) 등 10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 연기외기(緣起外記)·류종원(柳宗元)이 찬(撰)하고 법해(法海)가 집기(集記)한 역조숭봉사적(歷祖崇奉事跡)·류우석(劉禹錫)이 찬(撰)한 사시대감선사비(賜諡大鑑禪師碑)·영도(令韜)가 기록한 불의명(佛衣銘)·편자인 종보(宗寶)의 발문(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이제 여기에서는 특별히 몇 군데를 선택하여 부분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次日 韋使君 請益 師 陞座 告大衆曰 總淨心 念摩訶般若波羅蜜多 復云 善知識 菩提般若之智 世人本自有之 只緣心迷不能自悟 須假大善知識 示導見性 當知 愚人智人 佛性本無差別 只緣迷悟不同 所以有愚有智 吾今 爲說摩訶般若波羅蜜法 使汝等各得智慧 志心諦聽 吾爲汝說

제2 반야품

다음 날 위사군이 설법을 청하였다. 이에 대사가 법좌에 올라 대중에게 고하여 말했다.

“모두 마음을 청정하게 하고 마하반야바라밀다를 염송하여라.”

다시 말했다.

“선지식들이여, 보리반야의 지혜는 세상사람들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다. 그러나 다만 반연하는 마음이 미혹하여 스스로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대선지식의 가르침을 의지하여 견성해야 한다. 마땅히 알아라.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이나 모두 불성에는 본래부터 차별이 없다. 다만 반연에 깨달음과 미혹의 다름이 있을 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