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욕(忍辱)
상태바
인욕(忍辱)
  • 관리자
  • 승인 2007.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제별로 가려뽑은 경전말씀

사람들은 나날이 황량하고 거칠어져만 가는 고통의 바다에서 표류하며 피로감을 느낀다. 그리고 이 피로와 슬픔을 보상받기 위해서 숱한 유흥과 소비의 탁류에 몸을 던지고 금전적인 문제, 마약, 성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더 어떻게 해볼 기력조차 없어진 누구는 자기 파멸의 올가미를 향해 천천히 걸어들어가 버리거나 세상의 끝을 향해서 떠나 버린다. 이 시대의 고단한 한국인들이 피폐한 삶의 고통과 슬픔을 고요한 지혜의 눈으로 바라보고 극복해내려는 굳센 의지를 갖는다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참지 않기 때문이다. 난관과 고통을 참는 것을 불교는 인욕(忍辱)이라고 설하고 인욕이야말로 약자의 수동적인 굴욕이 아니라 자신과 이웃을 성찰하는 드높은 지혜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대지도론』에서는 “굳세고 견고한 인욕의 지혜(忍智牢固)”라고 한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불교의 현자들은 자신에 대한 집착이나 타인에 대한 증오는 인간의 마음을 병들게 하고 바르게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빼앗아가버린다고 설했다. 그 결과 인간은 더 큰 증오와 고통의 대가를 요구받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욕, 즉 참고 용서하는 수행을 쌓아야 한다. 사랑의 가장 숭고한 미덕은 용서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가 인생의 지표로 제시하는 육바라밀의 제3바라밀은 바로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이다. 즉 분노와 증오를 이기는 평화로운 삶의 가르침인 것이다.

미움은 미움으로써 사라지지 않는다 미움은 오직 참음과 자비로써만이 극복되는 것이니 이 진리는 영원하리라 不可怨以怨 終以得體息 行忍得息怨 此名如來法 『법구경』잘 알려진 『법구경』의 말씀이다. 195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대일평화조약(對日平和條約)을 체결할 때 불교국가인 스리랑카는 대일배상권(對日賠償權)을 포기했다. 당시 스리랑카의 대표였던 쟈야와르데 외무장관은 일본의 전쟁 피해 배상의무를 면제해주는 연설을 끝맺으면서 다음과 같은 부처님의 말씀, 『법구경(法句經)』을 인용하고 있다. 당시 스리랑카의 이와 같은 태도는 힘의 논리를 앞세운 평화의 주장보다는 상호관용과 사랑의 미덕이 실현됨으로써만이 진정한 평화가 이루어진다는 불교국가의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