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뿌리, 1600년 불교 그림이야기
상태바
우리의 뿌리, 1600년 불교 그림이야기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남간(南澗)김기혁 화백

불교설화 (佛敎說畵)-1천 6백 여년 간 전해 내려온 우리의 불교 이야기를 수백 장의 그림에 담아온 남간(南澗) 김기혁 화백, 남간 화백이 우리 문화의 원류인 불교를 그림으로 그리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4년 전쯤이 된다. 1600여년 동안 우리 민족의 정신원류가 되어 온 불교를 회화로 형상화하여 보여준다고 하는 것은 우리의 뿌리 찾기의 일환이 될 뿐만 아 니라 우리 문화의 원류를 그림을 통해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것은 쉬운 일 이 아니었다. 우선 불교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하고, 또 전래과정과 배경 등에 대해 제 대로 알지 않으면 그릴 수 없는 것들인데 광대하고 심오한 불교를 다 이해하고 그것을 그림 으로 그린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에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다.

"우리 것을 찾다보니 불교와 만나게되었습니다. 1600여 년 전 불교가 이 땅에 전래되어 우 리 민족의 정신축이 되면서 이웃나라인 중국과 일본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던 것은 누구 나 아는 사실입니다. 하나의 종교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 문화의 근저를 이루는 사상이었어 요.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것, 우리의 뿌리를 이해하려면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돼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의 한 사람으로서 이런 고민을 하다가 그리게 된 것이 이 그림들이지요. 서양물질문명의 혼돈의 가치 속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 국민들에게 우리의 혼 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모호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중에는 동서양의 차이를 두지 말라며 그림을 그리는 재료도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그렇지 않다고 봐요. 우리의 것은 우리 문화의 정서에 많은 재료를 통해 표현해야지요. 그리고 옛것을 그린다고 해서 모방이나 모사가 되어서는 절대로 안 돼요. 그림이란 눈에 보이는 것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동시에 그릴 수 있어야 해요. 역사적 사실을 그린다고 해서 역사적 사실만 그리기보다 그것에 회화성이 있어야 해 요. 그것을 환상적으로 이끌고 갈 수 있어야 근사한 작품이 되는 것이지요. 불화도 마찬가지 예요. 이 시대의 우리의 표현으로 그려야 하는 것입니다."

팔상록(八相錄)을 중심으로 한 석가세존일대기(釋迦世尊一代記)를 30폭에 그리고, 육로와 해 로를 통해 동방에 전래된 불교의 전래설화 16폭, 동방의 고승과 명찰에 대한 설화 90폭, 그 리고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교류에 연유된 설화 39폭, 경주 남산 불국사와 석굴암에 얽힌 설화 35폭, 경주 남산 설화 25폭, 신생 감로도(新生甘露圖)와 세시풍속 감로도, 육도윤회 업 보설화 등 총 300여점에 이르는 불교 설화들은 작품 규모(100CmX110Cm~160CmX180Cm)도 모두가 대작들이다. 주로 삼국유사와 사적지 그리고 중국 한국 일본불교사와 등 관련 서적 들을 섭렵하며 그린 그림들이다. 발제(跋題)는 여초 김응현 선생이 12폭에 담았다.

1천 년 이상의 보존을 위해 일반 화선지 대신 백 퍼센트 순도의 순닥종이에 화산석 석채(石彩)로 바탕을 칠하고 그 위에 농채(濃彩)로 그려지는 남간 화백의 그림들은 그 작업만 하더 라도 일반 담채(淡彩) 그림 10배는 넘는 품을 들여야 하는 그림과정들이다. 불변의 안료 개 발에도 엄청난 노력과 투자를 했다. 이렇게 그려진 그림은 쇠가죽처럼 두껍고 질겨져 들기 도 힘들 정도의 무게가 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