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의 새벽
상태바
한국불교의 새벽
  • 관리자
  • 승인 2009.06.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불교사 1

 만주지방 일대와 한반도를 무대로 삼고 터전을 일구어 삶을 이어 왔던 우리의 조상〈배달겨레〉들은 여는 원시민족들과 다름없는 자연신 숭배의 신앙을 갖고 있었다.

 까마득하고도 신비롭게 푸른창공과 거기에 낮 밤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고는 다시 나타나는 해와 달과 그리고 무수히 반짝이는 별들. 그 맑은 하늘을 흐리게 하는 구름과 때때로 내리는 비와 눈, 산과 바다와 강과 벌판, 나무와 바위 등 모든 것을 신(神)또는 그 화현(化現)으로 믿고 신봉하였었다.

 그래서 자연으로부터 받는 모든 재앙, 곧 가뭄과 홍수와 폭풍우와 벼락과 몹쓸 전염병 등을 모두 신의 노여움이나 벌(罰)로 보고, 또는 못된 신(惡神)의 장난으로 믿었기 때문에 그 신들에게 비위를 맞추고 비는 행사로서 자연의 재난을 극복하고자 하였었다.

 이같이 모든 재난을 극복하고 또 권위 있는 신들을 섬기는 신앙행사가 원시 및 상고대(上古代)의 사회에서는 매우 중요한 생활의 일부이면서 그들 신앙의 전부이기도 하였다.

 그러한 신앙행사 중에서도 5월 하종(下種)과 10월 추수 뒤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하늘과 모든 신에게 빌고 제사하는 행사〈祭天大會〉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여의 영고(迎鼓)와, 졸본부여의 동맹(東盟)과, 동예의 무천(舞天)은 그 대표되는 사례라고 할 것이다. 고구려와 백제 신라 및 가락 등의 나라들로 이루어져 내려오는 동안에도 우리의 조상들은 그처럼 원시적 자연신 숭배의 테두리를 벗어나질 못하였다.

 뿌리내린 불교

 말하자면 자연신 숭배의 신앙만 있었지 종교라고 할 만한 조직적이고도 체계화 된 신앙형태는 갖고 있지 못하였다 할 수가 있다. 그러한 때에 중국대륙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문화를 수반한 불교라는 새로운 종교가 들어오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불교는 말할 것도 없이 외래종교이다. 그러나 불교는 그 자체가 배타성(排他性)이 없고 응동보화(應同普化)의 무애(無碍)한 역사적 원리성〈歷史性〉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외래종교인 채 그대로만 계속 머물러 있지는 않았다.

 종교를 갖지 못한 우리 민족에게 불교는 오래지 않아 우리의 종교가 되어버렸던 것이다. 우리 것이 된 불교는 종교로서만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요, 사상이요, 모든 애환을 순화(醇化)하는 정신적인 기둥이 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우리의 역사기록에서 불교를 제일먼저 받아들인 때를 고구려 제17대 소수림왕 2년(372)의 일로 본다.

 그때 고구려와 이웃한 전진(前秦)당시 5호(胡) 16국(國)중의 하나로 북쪽 중국을 차지하고 있었던 나라에서 부견왕(符堅王)이 사신과 순도(順道)스님을 보내어 불상과 경전을 전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은 그보다도 먼저 이 땅에 불교가 들어와 있었던 흔적이 보이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