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능률 죄와 부합의 사회
상태바
비능률 죄와 부합의 사회
  • 관리자
  • 승인 2007.05.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두수상

오늘날 우리 경제는 매우 어려운 지경에 처해있고, 그로 인해 사회가 매우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우리 사회의 이러한 상황을 한마디로 꼭 집어 표현해본다면 아마 부합(負合)의 사회(社會)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부(負)란 수학에서 마이너스(-) 부호를 뜻한다.

따라서 부합의 사회란 합(合)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사회, 즉 전체적으로 볼 때 이익보다 손해가 더 큰 사회를 뜻하는 말이 된다. 물론 우리가 건설 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사회는 이러한 부합의 사회가 아니라 손해보다는 이익이 훨씬 더 커 합하면 프러스(+)가 되는 정합(正合)의 사회이다.

우리 사회가 부합의 사회로 된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원천적인 이유를 꼽는다면 그것은 우리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비능률 죄' 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능률 죄란 한마디로 사람들이 경제원칙을 지키지 않음으로 해서 사회를 비능률적이게 하는 죄이다.

따라서 부합의 사회를 탈피하여 정합의 사회로 가기 위하여는 비능률 죄를 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는 먼저 경제원칙이란 무엇인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제원칙이란 쉽게 이야기해서 살림을 알뜰하게 하기 위해 지켜야하는 원칙을 말한다. 살림을 알뜰하게 하는 방법은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수 있는데 이를 한 사람의 소비자가 청바지를 한 벌 구입하는 것으로 설명해보자.  먼저 청바지 구입에 쓸 수 있는 돈이 예컨대 20,000원으로 정해져 있다면 정신이 올바른 사람은 그 20,000원을 가지고 가장 좋은 청바지를 한 벌 사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즉 정상적인 사람은 주어진 비용으로 가장 좋은 청바지를 구입하여 최대만족을 얻고자 하는데 이를 '최대만족의 법칙' 이라고 한다.

한편 갖고 싶어하는 청바지가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 정상적인 사람은 그러한 청바지를 되도록이면 싸게 사고자 갖은 노력을 다할 것이다. 즉 정상적인 사람은 누구나 주어진 만족을 얻기 위하여 최소비용을 들이고자 노력하는데 이를 '최소비용의 원칙' 이라고 한다. 이러한 최소비용의 원칙과 앞에서 설명한 최대만족의 법칙을 합치면 그것이 바로 '경제원칙' 이 된다. 즉 '최소비용으로 최대만족을 얻고자 하는 것' 이 곧 경제원칙인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