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 거부증
상태바
등교 거부증
  • 관리자
  • 승인 2009.05.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모님을 위한 청소년 상담

 "시작이 반이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시작이라고 하는 것은 모든 일에 대단히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경우에는 새로운 선생님을 접하게 되고, 새 친구를 사귀어야 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학습 환경을 맞이해야 하기 때문에 학기초일수록 학부모로서는 자녀의 행동에 대한 관심이 더 필요할 때이다. 그렇다고 자녀들에 대해서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것은 좋지 않다.

 예를 들면 자가용을 이용해서 학교에 등교를 시켜준다거나, 지나치게 값비싼 학용품과 의복 등을 사준다거나, 다른 학생에게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어떤 행위를 하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자녀의 학교 생활에 역기능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지나친 무관심도 문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지만, 지나친 관심도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어느 국민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다. 아침 식사 때만 되면 머리가 아프거나 배가 아프다고 어머니에게 호소하는 아이가 있었는데, 그어머니가 보기엔 외관상으로는 아무렇지도 않았다. 걱정이 된 어머니는 아이와 함께 병원에 가보았으나 별다른 이상은 없었다. 그러나 하루도 아니고 가끔 나타나는 이 증세에 대해서 그냥 지나쳐 버릴 수가 없어서 자녀를 사랑한 나머지 아프면 학교에 가지 말고 집에서 쉬라고 하였다.

 이런 일이 몇 번 반복되면서 학생은 학교에 가기 싫으면 배가 아프다는 핑계를 대기 시작했고, 어머니는 우리 아이가 이렇게 아픈데 어떻게 학교를 가느냐 하며, 학생이 학교에 가게 되면 오히려 불안이 더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어머니와 자식 사이에 이러한 병적 의존관계가 형성되면서 아이가 학교에 가지 않아도 꾸짖지 않기 때문에 의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학교에 가지 않는 그 자체에 대해서 보상을 해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요즈음과 같은 핵가족제도에서 하나밖에 없는 자녀들의 건강에 대해서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나타난 등교 거부현상의 좋은 예이다. 물론 학생들이 등교를 거부하는 경향을 꼭 부모의 잘못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학교의 선생님에 대한 무서움, 회의, 불신이 있다거나, 친구 관계에서 고립되어 있다거나, 시험과 숙제가 주는 부담이 클 때 나타나기도 하고, 요즈음에는 학교 주변환경의 청소년 유해 업소라던가, 폭력 조직이 주는 불안감 때문에 나타나기도 하며 전반적인 사회 병리현상에 대한 도덕적 회의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