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警文
상태바
自警文
  • 관리자
  • 승인 2008.02.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상강단[4]

  아무리 서울의 지리를 잘 알고 또 훌륭한 자동차가 있더라도 차를 모는 운전수의 참된 각성이 없이는 가고자 하는 곳에 이를 수가 없다. 각성은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이며, 법다운 삶을 살아가도록 늘 점검하는 마음가짐을 말한다.

  불교를 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계율과 선정에 대해 전혀 부족함이 없는 수도생활을 한다 하더라도 올바른 지혜가 없으면 윤회를 벗어나 열반의 세계에 이른다는 것은 쉽지 않으리라. 그러므로 항상 슬기로운 마음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과 경책을 가함으로써 수도정진의 반연을 삼는 것이다.

  야운스님이 스스로를 꾸짖고 경책하고 참회하고 반성하며, 그 스스로의 삶을 계획한 이 자경문은 중국이나 일본의 어느 수도인의 자경문보다도 가치 있는 것이었기에 우리는 이 자경문을 택하여 치문의 교재로 삼았는지 모른다. 그러면 야운스님은 어떤 분이며 이 자경문의 내용은 어떠한 것인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1] 저자에 관하여

  저자 야운스님의 생애는 그 생몰년대가 분명치 않으며 따라서 이렇다 할 자료가 없다. 그런데다 신라시대의 야운스님과 고려시대의 야운스님의 두 가지 설이 있는데, 대개는 후자의 설이 더욱 유력하다고 보는 것이 정평이다.

  신라의 야운스님에 대한 설을 살펴보면, 스님은 본래 금강산의 신선이었는데 원효스님의 법문을 도청(盜聽)한 것이 발각되어 천하의 제일이라고 자부하던 자기의 도력을 원효스님과 겨루게 되었고, 원효스님에게 패하게 되자 원효스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자경문 내용에서 조사관(祖師關)에 관한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신라의 야운스님이라 보기는 어렵다. 그것은 왜냐하면 신라시대에는 선(禪), 특히 조사선(祖師禪)은 우리나라에 들어오지 않았기 때문에 고려의 야운스님의 설을 들 수가 있는 것이다.

  고려 야운스님은 휘가 각우(覺牛)이며 야운(野雲)은 그의 호다. 그 전기에 대해서는 자세히 전해지는 것이 없고 다만 나옹(懶翁)스님의 제자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나옹스님은 고려말 공민왕의 왕사(王師)로서 선(禪)의 오묘한 심지(心地)를 깨달은 아주 큰 스님이었다. 또 함허득통(涵虛得通)스님과 야운스님과의 주고 받은 서신이 있는데 함허득통스님이 야운스님에게 준 편지 가운데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강월헌 난간 앞에 강 달은 밝고

  야운당 뒤에는 들 구름 한가하다.

  구름과 달빛이 어울려 빛난 곳에

  한 집안이 고요하여 평안을 얻었다.

  江月軒前江月白 野雲堂上野雲閑

  雲光月色交煇處 一室含處體自安

  강월헌은 나옹스님의 당호(堂號)이며, 야운당은 야운스님의 당호다. 따라서 위의 시는 야운스님의 성격을 잘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하자면 중생을 섭인하는 점에서는 매우 자비롭고 평화스러운 모습이며, 진리를 구하고 사기(邪氣)를 제어하는 점에서는 굽힐 줄 모르는 굳건한 의지와 준엄한 표상이 야운스님의 성격이라 하겠다. 관세음보살의 혹자혹위(或慈或威)와 같다고나 할까?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