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선삼매경
상태바
좌선삼매경
  • 구마라집 한역
  • 승인 2008.04.10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선삼매경
저작·역자 ,요산 지안 감수|자응 역주 정가 14,000원
출간일 2005-05-15 분야 수행
책정보 255쪽 | 223*152mm (A5신) | 357g | ISBN(13) : 9788974791629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오랜 동안 북방불교를 대표하는 선사상 혹은 조사선을 강조해온 한국불교에 최근 남방불교의 수행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이는 공안선과 돈오선, 견성성불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현실을 돌아보게 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때문에 한국불교의 모습을 중국에 불교가 전해지면서 초기에 번역된 선경에 비추어 살펴보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도 의미가 있다 하겠다. 『좌선삼매경』은 중국에 소승 경전이 번역된 이후 나타난 최초의 선경(禪經)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좌선삼매경』 상하 2권은 구마라집이 홍시 4년에 장안에서 번역하여 5년 후(407)에 다시 다듬은 것으로 복잡하고 간단함의 좋은 점을 취하여 시종일관 조직적으로 정돈되었고 내용이 충실하여 선경 중의 으뜸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상권에서는 먼저 장편의 게송을 통하여 선을 닦아야 하는 이유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다음에는 선을 배우는 사람이 지녀야 할 윤리적 행위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는데 즉 오계를 잘 지키고 죄를 짓는 일이 없어야 함을 설하고 있다. 그런 뒤에는 중생들의 근기에 맞는 다섯 가지 관법을 제시한다. 즉 제1 탐욕을 다스리는 법문, 제2 성냄을 다스리는 법문, 제3 어리석음을 다스리는 법문, 제4 분별작용을 다스리는 법문, 제5 균등을 다스리는 법문 등이 군더더기 없이 간명직절하게 제시되어 보다 명료하게 선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듯 『좌선삼매경』에는 좌선 입문자로서의 구체적인 수행지침이 설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행을 해야 하는 이유, 탐진치 삼독에 빠진 이들을 위한 관법, 선수행자가 지녀야 할 윤리적 행위와 중생들의 근기에 맞는 다섯 가지 관법, 사마타와 위빠싸나를 아우르는 성문선(聲聞禪), 연각선(緣覺禪), 보살선(菩薩禪) 등 대·소승의 선법이 조직적으로 잘 정돈되어 있다.
선수행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 시대, 『좌선삼매경』은 선에 입문하려는 초심자나 오랫동안 정진해온 수행자 모두 빠짐없이 일독해야 할 소중한 경전임에 틀림없다.
저자소개 위로
◆ 구마라집(鳩滅什 Kumarajlva:344~413)인도 구자국 사람으로 중국 대표적인 역경사 중 한 분. 구마라집의 역경활동에 의해 비로소 중국은 대승불교 철학의 진수를 이해하게 되었으며, 『대품반야경』·『묘법연화경』·『아미타경』·『유마경』·『금강경』, 용수의 『중론』·『십이문론』·『대지도론』 등을 포함하여 300권 이상의 대번역사업을 완수하여 중국 불교에 결정적인 초석을 놓았다. 그의 번역은 그 이전의 것들에 비해 사상적 내용의 전달이나 문체가 뛰어나 지금까지도 많이 읽히고 있다.

◆ 요산지안(樂山志安) 스님 통도사 벽안 스님을 은사로 득도. 통도사 승가대학 강주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조계종 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장 겸 통도사 반야암 회주로 계신다.

◆ 자응(慈應) 스님 철오(徹悟) 스님을 은사로 출가. 동국대학교(경주) 선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선학과 한문학을 공부. 남국선원과 해운정사에서 안거, 수행정진하였으며, 조계종 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을 졸업했다.
목차 위로
서문 3
좌선삼매경 해제 11

좌선삼매경 상(上)

Ⅰ. 서언(序言) 37
1. 선(禪)을 닦아야 할 이유 37
2. 먼저 지계(持戒)를 견고히 하다 48
⑴ 음욕(淫欲)의 모습 49
⑵ 성냄〔瞋迷〕의 모습 52
⑶ 어리석음〔愚癡〕의 모습 54

Ⅱ. 오정심관(五停心觀) 56
1. 부정관(不淨觀)-탐욕을 다스림 57
2. 자심관(慈心觀)-성냄을 다스림 64
3. 인연관(因緣觀)-어리석음을 다스림 70
4. 호흡(안나반나)관-분별 작용을 다스림 74
⑴ 호흡관과 6묘문(六妙門) 75
㈎ 숨을 헤아림〔數〕 75
① 욕망의 분별작용〔欲覺〕 78
② 성냄의 분별작용〔瞋迷覺〕 80
③ 번뇌의 분별작용〔惱覺〕 83
④ 친척관계의 분별작용〔親里覺〕 85
⑤ 국토의 분별작용〔國土覺〕 89
⑥ 불사의 분별작용〔不死覺〕 90
㈏ 숨을 따름〔隨〕 96
㈐ 멈춤〔止〕 99
㈑ 관찰〔觀〕 100
㈒ 돌이킴〔轉〕 101
㈓ 청정〔淨〕 102
⑵ 16특상(特相)과 사념처(四念處) 103
㈎ 몸에 대한 마음챙김〔身念處〕 103
㈏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 106
㈐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心念處〕 108
㈑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 109
5. 염불관(念佛觀)-균등〔等分〕을 다스림 110
⑴ 부처님 32상(相) 113
⑵ 부처님 80종호(種好) 116
⑶ 여래십호(十號) 123
좌선삼매경 하(下)

Ⅲ. 성문선(聲聞禪) 133
1. 사마타 133
⑴ 색계사선(色界四禪) 133
㈎ 초선(初禪) 137
㈏ 이선(二禪) 삼선(三禪) 사선(四禪) 139
⑵ 무색계정(無色界定) 141
⑶ 사무량심(四無量心) 143
⑷ 오신통(五神通) 144
2. 위빠사나 147
⑴ 사념처(四念處) 147
㈎ 몸에 대한 마음챙김〔身念處〕 148
㈏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 149
㈐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心念處〕 151
㈑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 153
⑵ 4제(諦) 16행상(行相) 157
⑶ 사선근(四善根) 158
㈎ 따뜻한 법〔煖法〕 158
㈏ 꼭대기의 법〔頂法〕 161
㈐ 인가의 법〔忍法〕 164
㈑ 세간에서 가장 뛰어난 법〔世第一法〕 166
⑷ 무루16심(無漏十六心) 166
⑸ 성문(예류부터 아라한까지) 171

Ⅳ. 연각선(緣覺禪) 180
1. 벽지불〔陽支佛: 독각(獨覺), 연각(緣覺)〕 180

Ⅴ. 보살선(菩薩禪) 183
1. 보살도(菩薩道)의 염불관(念佛觀) 183
⑴ 보살도의 염불삼매(念佛三昧)의 특징 186
2. 보살도(菩薩道)의 부정관(不淨觀) 188
⑴ 모든 존재의 참다운 모습을 관(觀)함 190
3. 보살도(菩薩道)의 자심관(慈心觀) 193
4. 보살도(菩薩道)의 인연관(因緣觀) 202
⑴ 12인연(因緣) 204
① 무명(無明) 204
② 의도적 행위〔行〕 205
③ 알음알이〔識〕 207
④ 정신-물질[名色〕 207
⑤ 여섯 감각장소〔六入〕 208
⑥ 감각접촉〔觸〕 208
⑦ 느낌〔受〕 209
⑧ 갈애〔愛〕 209
⑨ 취착〔取〕 210
⑩ 존재〔有〕 210
⑪ 태어남〔生〕 211
⑫ 늙음-죽음〔老死〕 211
⑵ 12인연(因緣)의 공(空)을 관(觀)함 212
⑶ 12인연(因緣)의 실상(實相)을 관(觀)함 215
⑷ 12인연(因緣)과 4제(諦)와의 관계 219
⑸ 4제(諦)와 37도품(道品)과의 관계 222
⑹ 인연(因緣)이 공(空)함 225
⑺ 12인연(因緣)의 공(空)을 설함 228
5. 보살도(菩薩道)의 수식관(數息觀) 230
⑴ 3종인법(三種忍法) 230
㈎ 생인(生忍) 230
㈏ 유순법인(柔順法忍) 232
㈐ 무생법인(無生法忍) 235
6. 보살도(菩薩道)의 모든 과(果)를 나타냄 237

Ⅵ. 결어(結語) 238
선수행자가 때와 방편을 관(觀)해야 함 238

참고문헌 247
찾아보기 249
상세소개 위로
 
책속으로 위로
 
언론사 서평 위로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