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부처님의 가행정진

가행정진, 나의 숙업을 바꾸다 : “이 자리에서 죽어도 결코 일어서지 않으리라”

2016-01-27     성재헌

편집자

숙업宿業. 업의 뿌리는 깊습니다. 이 정도 팠으면 업의 뿌리가 나왔을까 하면 더 깊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과거 전생을 모두 다 봤다는 것은 바로 이 업의 뿌리를 봤다는 것입니다. 그 첫 길, 부처님처럼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작심삼일입니다. 이를 넘어가기 위해 옛 스승들은 게으른 몸을 칼날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가행정진입니다. 게으른 몸은 숙업입니다. 숙업은 욕망, 불안, 죽음 등과 함께 있습니다. 숙업을 넘는 길, 불교의 첫 길, 가행정진은 숙업을 녹입니다. 숙업을 바꿉니다. 오래된 경전 『숫타니파타』는 불자들에게 이렇게 경책합니다. “일어나라! 앉으라! / 잠을 잔다고 그대들에게 / 무슨 이익이 있겠느냐? 화살을 맞아 괴로워하고 고통받는 이에게 / 참으로 잠이 웬 말이냐?” (일아 스님 역, 불광출판사) 

부처님의 삶은 가행정진의 삶입니다. 부처님께서 가보셨던 그 길을, 2016년 첫 날, 우리 불자들이 가봅니다. 홀로 가도 좋고, 도반과 같이 가도 좋습니다. 올 한 해 나의 숙업을 바꾸는 한 해로 만들도록 서원합니다.

01. 부처님의 가행정진 / 성재헌
02. 근대 선지식의  각오와  발심, 가행정진 엿보기 / 김성우
03. 불교수행하는 정신과 의사 전현수 박사 인터뷰 / 하정혜
04. 경남 양산 정토원 철야정진 현장 / 정태겸
05. 청화스님의 가행정진 법문 / 청화스님

황벽희운黃檗希運 선사는 이렇게 노래하셨다.

번뇌를 아득히 벗어난다는 것
예삿일 아니니 고삐를 단단히
거머쥐고 한바탕 공부하라.
이렇게 한차례 추위가 뼈에 사무치지 않으면
코를 찌르는 매화의 향기를 어찌 얻으랴.

塵勞迴脫事非常 緊把繩頭做一場

不是一翻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

만사에 전환점轉換點이란 것이 있다. 비행기도 일정 속도에 이르지 않으면 뜨지 않고, 물도 일정 온도에 이르지 않으면 끓지 않는다. 이는 비단 물리의 세계에만 적용되는 법칙은 아니다.

인간의 삶에서도 획기적인 변화는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고뇌와 번민이 점철된 삶에서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삶으로 바뀐다는 것, 그건 어쩌면 쇳덩어리가 하늘을 날고 액체가 기체가 되는 것보다 더 어렵고 더 획기적인 변화일 것이다.

어떻게 해야 그런 삶의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까? 비행기는 석유 없이 날아오를 수 없고, 가마솥의 물은 장작 없이 끓을 수 없다. 에너지의 투입이 없으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건 물리의 세계건 인간의 삶이건 마찬가지다. 즉, 노력 없이 삶의 변화는 없다. 또한 그 노력은 목표와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아궁이 밖의 불로는 가마솥 물을 끓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획기적 변화를 일으키려면 한 가지 조건을 더 갖춰야만 한다. 바로 ‘집중’이다. 햇빛으로는 종이를 태울 수 없지만 돋보기로 그 빛을 모으면 종이를 태울 수 있다. 투입하는 에너지의 총량은 같지만 그것을 분산했을 때와 집중했을 때의 차이는 하늘과 땅만큼 다르다.

이처럼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꽤나 까다로운 몇 가지 조건을 구비해야만 한다. 첫째, 노력해야 한다. 둘째, 그 노력의 목표와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셋째, 일정기간 동안에는 그 노력을 집중적으로 기울여야만 한다.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춘 것을 흔히 용맹정진勇猛精進 또는 가행정진加行精進이라 칭한다. 용맹정진은 불교도들이 반드시 걸어야 할 길이다. 왜 그런가? 고타마 싯다르타가 그 길을 통해 붓다로 거듭났고, 헤매던 선객들이 그 길을 통해 조사로 거듭났고, 무지한 중생들이 그 길을 통해 보살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붓다와 조사와 보살께서 걸으신 길을 따라 걷는 것, 그것이 불교이기 때문이다. 이 길을 걷지 않고는 삶의 획기적 전환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면, 붓다께서는 어떻게 용맹정진하셨을까? 그분의 삶 속에서 더듬어보자.

고타마 싯다르타가 걸었던 길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삶의 고뇌와 슬픔을 떨치기 위해 모든 것을 버리고 왕궁을 나섰지만 해답을 일러주는 이는 어디에도 없었다. 고타마는 열도의 땅을 헤집으며 스승을 찾아다녔고, 그 길에서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 등 노숙한 종교지도자들을 만났다. 명민하고 성실했던 그는 스승의 가르침을 성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였고, 스승들이 증득한 무소유처無所有處의 경지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경지를 터득하였다. 알라라 깔라마, 웃다까 라마뿟따는 제자의 놀라운 속도에 감탄하며 이렇게 권유하였다.

“오라, 존자여. 둘이 함께 이 무리를 이끌어가자.”

하지만 고타마는 왕자의 자리를 버렸듯이 지도자의 자리를 미련 없이 버리고 떠났다. 왜 그랬을까? 그들에게서 배운 선정은 실로 놀라운 것이었다. 예전에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였다. 하지만 그 선정이 번민과 슬픔을 제거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건 자신이 찾던 해답이 아니었다. 욕망과 욕망이 초래하는 고통을 외면한 선정은 아름다운 포장지로 오물을 가리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를 파악한 고타마는 욕망을 제거하기 위해 고행苦行에 몰입하였다. 쉼 없이 들끓는 욕망을 억누르기 위해 자신의 신체를 학대하고, 호흡을 참고, 음식을 줄였다. 그 결과 고타마의 심신은 처참히 망가졌다. 왕궁을 나선 지 6년, 훗날 붓다께서는 그 무렵의 자신을 다음과 같이 회상하셨다.

나의 등뼈는 작은 고리를 연결한 것처럼 되었다.
나의 갈빗대들은 오래된 집의 서까래처럼 허물어지고 부서졌다.
나의 두 눈동자는 깊은 우물처럼 움푹 꺼졌다.

나의 머리 가죽은 익기 전에 떨어진 오이처럼 바람과 햇빛에 달라붙고 오그라들었다. 음식을 조금만 먹은 탓에 뱃가죽이 등뼈에 달라붙어 뱃가죽을 만지면 등뼈가 잡히고 등뼈를 만지면 뱃가죽이 잡혔다. 대변이나 소변을 보려다 휘청거리며 쓰러졌고, 몸을 편안히 하려고 사지를 문지르면 털들이 우수수 떨어졌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이 있다. 이런 고행을 용맹정진이라 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건 바른 노력[正精進]이 아니다. 고타마는 누구보다 열심히 노력하였다. 과거의 어느 누구도, 현재의 어느 누구도, 미래의 어느 누구도 자신만큼 격렬하고 모진 고통을 맛보지는 못하리라고 자신했다. 하지만 욕망은 사라지지 않았고, 더불어 욕망에 수반되는 번민과 슬픔도 사라지지 않았다. 훗날 붓다께서는 녹야원의 다섯 비구에게 “자기 자신을 괴롭히는 데 열중하는 것은 피로와 고통만 남길 뿐 아무런 이익이 없다.”고 술회하셨다. 온갖 번민과 슬픔을 초래하는 욕망을 제거하기 위해 자신을 학대하는 것은 아궁이 밖에서 열심히 불을 때는 것과 다름없었던 것이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회의와 절망에 빠진 고타마에게 한 가닥 희망의 빛이 보였다. 그 실마리는 어린 시절 시원한 잠부나무 그늘에서 맛보았던 ‘행복’이었다. 약육강식의 참담한 실상을 목격하고 깊은 사유를 통해 비정한 승자의 자리를 포기했을 때, 그는 더 없는 평안을 맛보았던 것이다.

고타마는 깊이 돌이켜 보았다. 삶의 고통은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욕망에 이끌려 쾌락을 쫓는 삶은 허탈함만 남길 뿐이었다. 그렇다고 욕망을 회피하거나 욕망을 억누르는 것 또한 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 욕망은 그 실상을 파악할 때 저절로 사라지는 것이었고, 평안은 욕망이 사라진 자리에 저절로 깃드는 것이었다.

드디어 새 길이 열렸다. 그래서 고타마는 고행의 길을 버리고 무덤가에 버려진 천을 주워 걸치고, 네란자나 강가에서 깨끗이 목욕하고, 수자따의 우유죽으로 기운을 회복하고, 시원한 그늘이 넓게 드리운 보리수 아래 앉았다. 그 나무 아래에서 욕망의 민낯을 마주하며, 고타마는 맹세하셨다.

여기 이 자리에서
내 몸은 말라버려도 좋다.
가죽과 뼈와 살이

없어져도 좋다.
어느 세상에서도 얻기 어려운
저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이 자리에서 죽어도
결코 일어서지 않으리라.

드디어 용맹정진이 시작된 것이다. 그렇게 욕망의 대상들이 얼마나 덧없고 위험한 것인지, 그 욕망이 얼마나 까닭 없는 것인지를 면밀히 관찰하고 사유하였다. 그리고 기원전 589년 12월 8일 새벽, 샛별이 마지막 빛을 사르는 동녘하늘을 보며 당당히 선언하셨다.

“나는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성취하였다.”

그러고도 붓다께서는 49일 동안 재차 삼차 확인하고 점검하는 담금질을 마다하지 않으셨다. 이것이 용맹정진이다.

삶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열정을 한꺼번에 쏟아 붓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명심해야 한다. 붓다의 용맹정진은 욕망의 민낯을 샅샅이 살피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말이다. 원효 스님께서도 『발심수행장』에서 말씀하셨다.

“부지런히 수행하더라도 지혜가 없는 사람은 동쪽으로 가고자하면서 서쪽으로 가는 것과 같다. 지혜로운 사람의 수행은 쌀을 쪄서 밥을 짓는 것이요, 지혜롭지 못한 사람의 수행은 모래를 쪄서 밥을 짓는 것이다.”

바른 결과를 얻게 하는 것이라야 바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용맹정진, 알고 시작하자. 활시위를 아무리 팽팽히 당겨도 초점이 맞지 않으면 소용없다.

 

성재헌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해군 군종법사를 역임하였으며,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근무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전서 번역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계종 간행 『부처님의 생애』의 집필위원으로 참여하였고, 저서로 『커피와 달마』·『붓다를 만난 사람들』·『육바라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