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근대 선지식의 각오와 발심, 가행정진 엿보기
상태바
[특집] 근대 선지식의 각오와 발심, 가행정진 엿보기
  • 김성우
  • 승인 2016.01.27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행정진, 나의 숙업을 바꾸다

숙업宿業. 업의 뿌리는 깊습니다. 이 정도 팠으면 업의 뿌리가 나왔을까 하면 더 깊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과거 전생을 모두 다 봤다는 것은 바로 이 업의 뿌리를 봤다는 것입니다. 그 첫 길, 부처님처럼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작심삼일입니다. 이를 넘어가기 위해 옛 스승들은 게으른 몸을 칼날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가행정진입니다. 게으른 몸은 숙업입니다. 숙업은 욕망, 불안, 죽음 등과 함께 있습니다. 숙업을 넘는 길, 불교의 첫 길, 가행정진은 숙업을 녹입니다. 숙업을 바꿉니다. 오래된 경전 『숫타니파타』는 불자들에게 이렇게 경책합니다. “일어나라! 앉으라! / 잠을 잔다고 그대들에게 / 무슨 이익이 있겠느냐? 화살을 맞아 괴로워하고 고통받는 이에게 / 참으로 잠이 웬 말이냐?” (일아 스님 역, 불광출판사) 

부처님의 삶은 가행정진의 삶입니다. 부처님께서 가보셨던 그 길을, 2016년 첫 날, 우리 불자들이 가봅니다. 홀로 가도 좋고, 도반과 같이 가도 좋습니다. 올 한 해 나의 숙업을 바꾸는 한 해로 만들도록 서원합니다.

01. 부처님의 가행정진 / 성재헌

02. 근대 선지식의  각오와  발심, 가행정진 엿보기 / 김성우

03. 불교수행하는 정신과 의사 전현수 박사 인터뷰 / 하정혜

04. 경남 양산 정토원 철야정진 현장 / 정태겸

05. 청화스님의 가행정진 법문 / 청화스님

그 이후 좌선 또는 간경, 행선, 염불정근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더욱 더 불법佛法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고, 이만하면 그 무엇에도 의지하거나 흔들리지 않고 불법을 전하며 살 수 있다는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수행을 통해 얻어진 힘을 삶의 현장에 적용하는 일은 녹록치 않았다. 사회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무수한 경계들,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부딪치는 오해와 갈등이 실로 더 큰 공부거리임을 거듭 확인하게 된다. 그야말로 “좌선은 연습이요, 생활이 실전이다.”라고 한 누군가의 말을 되씹으며 동중선動中禪을 쉼 없이 연마하고 있다.

또 다른 반백의 삶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근대 선지식의 가행정진’이란 주제로 글을 청탁 받게 된 것은 어쩌면, 나 자신을 돌아보고 끝없이 초월하라는 경책의 죽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조선왕조 500년의 암흑기를 뚫고 불교중흥의 서막을 밝힌 근대 스승님들의 구도기는 어느 한 분 뺄 수 없을 정도로 땀과 피로 얼룩지고, 목숨을 내어놓은 용맹정진으로서 그들은 한결 같이 깨달음을 얻은 후 자비행을 실천한 분들이었다.

지면 관계상 모든 분들을 소개하진 못하고 치열한 수행을 통해 도를 얻고 철저한 보림保任 공부를 마친 후, 저잣거리에서 자비의 손을 드리운 대표적인 고승 네 분의 구도기를 통해, 독자와 더불어 재발심의 기회를 가져본다.

 

| ‘콧구멍 없는 소’가 된 경허 스님

원효 스님이 신라불교의 새벽을 연 인물이라면 경허성우(鏡虛惺牛, 1849~1912) 스님은 서산 대사 이래 침체되었던 한국불교의 선종을 중흥시킨 대선사이다. ‘제2의 원효’, ‘한국의 마조馬祖’로 불리는 그는 선의 혁명가이자 대승의 실천자로서 철저한 수행과 깨달음, 보림, 입전수수入廛垂手의 전형을 완벽하게 보여준 선지식이다.

경허 스님은 20대 후반에 이미, 경ㆍ율ㆍ론 삼장에 정통하고 유학과 노장까지 두루 섭렵한 당대의 대강사로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1879년, 스님은 옛 스승인 계허 스님을 찾아 한양으로 향하던 중 심한 폭풍우를 만나 가까운 인가에서 비를 피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마을에 돌림병이 돌아 집집마다 문을 굳게 닫고 있었다. 비를 피하지 못하고 마을 밖 큰 나무 밑에 앉아 밤새도록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다가 이제까지 생사불이(生死不二: 생사가 둘이 아니다)의 이치를 문자 속에서만 터득하였음을 돌아보고 새로운 발심을 하였다.

이튿날, 동학사로 돌아오는 길에 경허 스님의 머리 속에 문득 한 가지 의문, 하나의 공안이 저절로 떠올랐다. 바로 위앙종의 대선사 영운지근(靈雲志勤, 771~853) 스님에게서 비롯된 ‘여사미거 마사도래驢事未去 馬事到來’ 화두였다. 나귀의 일이 끝나지 않았는데 말의 일이 닥쳐왔다니, 이게 대체 무슨 도리일까. 의문은 부풀어 오르는 뭉게구름처럼 자꾸 커졌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