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청화 스님 가행정진 법문

-가행정진, 나의 숙업을 바꾸다]생각을 부처님 마음에 머물게 해서 간단없이 밀어붙여라

2016-01-27     청화 스님

편집자

숙업宿業. 업의 뿌리는 깊습니다. 이 정도 팠으면 업의 뿌리가 나왔을까 하면 더 깊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과거 전생을 모두 다 봤다는 것은 바로 이 업의 뿌리를 봤다는 것입니다. 그 첫 길, 부처님처럼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작심삼일입니다. 이를 넘어가기 위해 옛 스승들은 게으른 몸을 칼날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가행정진입니다. 게으른 몸은 숙업입니다. 숙업은 욕망, 불안, 죽음 등과 함께 있습니다. 숙업을 넘는 길, 불교의 첫 길, 가행정진은 숙업을 녹입니다. 숙업을 바꿉니다. 오래된 경전 『숫타니파타』는 불자들에게 이렇게 경책합니다. “일어나라! 앉으라! / 잠을 잔다고 그대들에게 / 무슨 이익이 있겠느냐? 화살을 맞아 괴로워하고 고통받는 이에게 / 참으로 잠이 웬 말이냐?” (일아 스님 역, 불광출판사) 

부처님의 삶은 가행정진의 삶입니다. 부처님께서 가보셨던 그 길을, 2016년 첫 날, 우리 불자들이 가봅니다. 홀로 가도 좋고, 도반과 같이 가도 좋습니다. 올 한 해 나의 숙업을 바꾸는 한 해로 만들도록 서원합니다.

01. 부처님의 가행정진 / 성재헌
02. 근대 선지식의  각오와  발심, 가행정진 엿보기 / 김성우
03. 불교수행하는 정신과 의사 전현수 박사 인터뷰 / 하정혜
04. 경남 양산 정토원 철야정진 현장 / 정태겸
05. 청화스님의 가행정진 법문 / 청화스님

납월 팔일, 즉 음력 12월 8일은 부처님께서 도를 이루신 날이므로, 12월 초하루부터 납월 팔일까지는 용맹정진을 합니다. 칠 일 동안의 용맹정진은 집중적으로 간단없이 번뇌를 공격하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수행을 할 때, 했다가 쉬었다가 하면 잠재의식이 또 나오게 되어서 망상이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낮에는 그런대로 괜찮다가도 밤에 잠잘 때는 꿈속에서 잠재의식이 발동되어 이상야릇한 꿈을 꾸게 됩니다. 그것이 우리 중생 놀음입니다. 그러므로 용맹정진을 하는 것입니다.

 

| 간단없이 정진하면 틀림없이 부처님 광명이 나옵니다

용맹정진은 화두나 염불, 혹은 주문을 통해서 오직 부처님께로 지향하는 마음을 순간 찰나도 쉬지 않고서 지속시키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음식의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서 입으로는 먹고 있지만 마음으로는 부처님, 즉 본체를 지향하는 마음을 놓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용맹정진 기간 동안에는 원칙적으로 묵언을 지켜야 합니다. 말을 하면 개념이 나옵니다. 개념이 발동되기 때문에 또 역시 분별시비가 있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말을 않습니다. 식사 또한 꼬박꼬박 세 끼를 먹지 않고 원칙적으로 하루 한 끼를 먹습니다. 본래 우리가 잘 참지 못해서 하루에 세 끼를 먹고, 거기에 덧붙여 간식도 합니다만 사실은 하루 한 끼를 먹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래서 말도 않고 또 하루에 한 끼만 딱 먹고 맙니다. 우리 생각을 부처님 마음에다 딱 머물게 해서 간단없이 밀어붙입니다. 그렇게 정진할 때는, 즉 반주삼매般舟三昧를 할 때는 우주본체의 진여불성 자리가 훤히 다가옵니다. 반주삼매란 불립삼매佛立三昧로서 부처님이 훤히 앞에 나오신다는 뜻입니다. 그와 같이 간단없이 정진하면 일주일이 미처 못 가서 틀림없이 부처님 광명이 나옵니다. 그래서 자기 마음과 몸이 온전히 그 광명과 하나가 되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자기라는 생각도 초월해 버립니다. 그것을 심월고원心月孤圓이라 합니다. 일주일 해서 안 되면 삼칠일, 즉 21일 동안 그렇게 하고 그래도 안 될 때는 49일 동안 하고, 그래도 안 되면 90일 동안 합니다.

“일주일이면 되는데 설마 90일 하면 안 되겠느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해보면 그렇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 같은 사람도 삼동결제를 그렇게 많이 했지만, 지금도 번뇌의 찌꺼기를 다 못 떼고 있습니다. 용맹정진은 상의해서, 하셔도 좋고 안 하셔도 좋고 합니다. 왜 그러는가 하면 꼭 해야 한다고 하면 의무감 때문에 구속을 받습니다. 그리고 또 가부좌를 제대로 익히지 못하신 분들은 굉장히 고생합니다. 이레 동안 밤이나 낮이나 안 눕고 안 자므로 버티기가 힘들어서 그냥 미쳐 버린 분도 있습니다. 저는 그런 사람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억지로 하다 보니까, 한 열 명쯤 시작하면 그 중 몇 명은 쓰러지고 맙니다. 그리고 겨우 버틴 분들도 다리가 아프고 어디가 아프고 하여 그 아픈 것만 생각하지 공부에는 별로 생각이 없습니다.

그러나 또 억지로라도 해 놓고 보면 하신 다음에는 ‘이것을 하면 좋겠구나.’ ‘나 같은 별것도 아닌 사람이 일주일 동안 안 자고 안 눕고 버텼구나.’ 생각되어 자기를 이겼다는 강인한 의지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참선을 많이 하신 분들은 그저 무난하게 그때그때 편안하게 하시는 것이 좋은데, 사실 신참들은 어거지로 한 번 해 보시는 것도 좋기는 합니다. 그러나 무리는 마시고 선방 스님들은 입승 스님과 상의해서 하시고, 정중당凈衆堂에서 공부하신 분들도 이제 알아서 하십시오. 너무 무리하면 도리어 병이 되는 수도 있습니다. 또 그냥 참선이라는 것이 원래 참 좋고 쉬운 것인데 참선은 굉장히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셔서 다시는 안 오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면 곤란합니다. 때문에 그런 점을 감안해서 하시기 바랍니다.

 

| 후회 없도록 부지런히 공부하기를

사실 참선은 제일 쉬운 것입니다. 몸도 가부좌가 가장 편한 것입니다. 호흡도 가부좌를 해야 상하 호흡 순환이 제일 좋습니다. 그래서 드디어는 항시 머리도 시원하고 가슴도 시원하고 눈도 시원하고 합니다. 아랫도리는 따습고 단전에는 힘이 꽉 차 있게 됩니다. 참선을 많이 해서 가부좌를 많이 한 사람들은 틀림없이 아랫배에 힘이 꽉 차 있습니다. 그러면 나쁜 병이 올 수가 없습니다. 잔병도 다 떨어지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나 억지로 잘못한 사람들은 도리어 없던 병이 생깁니다.

참선을 잘 하면 내가 없고 네가 없고 미운 사람, 좋은 사람도 없어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나날이 좋은 날이고 때때로 좋은 때입니다. 우리 마음은 나다, 너다, 좋다, 궂다, 시비를 다 떠나서 천지 우주의 순수 에너지, 순수 정기인 부처님만 생각하는 것이 참선하는 마음의 자세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화두를 드는 것이고, 염불도 그 자리를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그 자리는 훤히 빛나는 자리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행복도 지혜도 자비도 능력도 원만히 갖춘 무한의 공덕과 가능성을 입력한 컴퓨터, 이것이 우리 마음입니다. 그 자리를 계발하는 데 가장 요령 있고, 가장 쉽고, 가장 확실한 방법이 참선입니다. 우리 몸을 바르게 하고, 우리 호흡을 바르게 하는 것이 참선입니다. 몸을 바르게 하려면 철저한 계행을 지켜야 됩니다. 몸을 바르게 한 다음에는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합니다. 호흡은 자연스럽게, 될수록 가늘고 길게 그리고 고르게 해야 합니다.

자기 분수에 맞게 구해야 합니다. 분수에 넘치는 허튼 권리나 권력을 구하고, 돈을 구할 때는 마음이 괴로워집니다. 모든 게 분수에 맞으면, 우리 마음은 내 생명의 근본인 동시에 우주만유의 근본 자리인 우리 부처님을 생각합니다. 이렇게 분수에 맞게 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우리 몸이 거부할 수가 없습니다.

세월은 참 무상합니다. “그 동안에 공부를 얼마나 했는가, 내 놓아 보시오.” 하면 우선 저부터가 따분하게 생각합니다. 후회가 없도록 공부 부지런히 하시기 바랍니다. 분명히 반야바라밀을 본다면, 찰나 찰나가 다 좋은 때요, 사람마다 좋은 사람입니다. 설사 내가 아무 허물도 없는데 내 목에 칼을 겨누는 사람도 좋은 사람이 됩니다. 천지 우주가 오직 부처님뿐이요, 천지 우주가 다 화장세계, 즉 부처님 나라뿐입니다. 그러므로 나날이 좋은 날이요, 분명히 해마다 좋은 해입니다. 부지런히 정진하시기 바랍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마하반야바라밀.

 

_ 불기 2536년(서기 1992년) 1월

동리산 태안사 신년 상당법문上堂法門

 

이 법문은 청화 스님 『가장 행복한 공부』(아시아문화커뮤니티)에서 옮겨왔습니다.

 

청화 스님

1947년 세납 24세에 백양사 운문암에서 금타 화상을 은사로 득도. 출가 이후 50여 년 동안 혜륜사, 진불암, 백장암, 벽송사, 사성암, 용문사 염불선원, 보리암 부소대, 혜광사, 상원암, 상견성암, 칠불사 등에서 묵언과 일종식, 장좌불와를 원칙으로 치열하게 수행 정진했다. 청화 스님은 부처님 공부는 가장 행복한 공부이며,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우리가 부처가 되는 길이니 부지런히 정진하라고 강조했다. 2003년 세납 80세, 법납 56세에 열반에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