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부처님, 늙음을 깊이 관하다

특집 : 100세노인, 출가하다 - 행복하게 늙는 법

2015-10-08     김재성

특집 : 100세노인, 출가하다 - 행복하게 늙는 법

1. 부처님, 늙음을 깊이 관하다 / 김재성
2. 부처님은 이와 같이 나이 들었다 / 조정육
3. 무여 스님이 준 화두, ‘65세, 나는 누구인가?’ / 김성동
4. 심출가心出家 에는 나이가 없다 / 조혜영

경전은 늙음, 병듦, 죽음이라는 세 가지가 없었다면 붓다는 출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부처님은 늙음에 대해 “부끄러워할지어다. 가련한 늙음이여, 추악한 모습을 드러내는 늙음이여 잠시 즐겁게 해주는 사람의 영상, 늙어감에 따라 산산이 부서지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늙음 자체의 부정성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늙지 않으려는 것에 대한 집착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2천 5백 년 전에도 사람들은 생에 대한 집착이 깊었지만, 오늘날 늙지 않으려는 집착은 물질문명과 생명과학기술과 결합해 더 단단해지고, 때론 왜곡되어 나타납니다. 불교의 눈으로 볼 때 늙음에 대한 두려움과 이를 회피하려는 모습은 오히려 고통 속으로 더 깊이 빠져들게 되면서, 불안이 더 커지게 됩니다. 모든 사람은 늙는다는 이 평범한 사실 속에서 이를 불자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행복하게 늙어갈 수 있을까요?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과, 부처님의 삶과, 그리고 이를 따르는 불자의 삶에서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 늙음이 몰려올 때 무엇을 해야 하는가

붓다는 누구나 늙음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늙어 기력이 없어지기 전에 부지런히 마음을 닦아 맑히라고 가르쳤습니다. 재가자가 젊어서 재산을 모으지 못하거나 출가자가 젊어서 수행하지 않으면 늙어서 쓸쓸하게 죽는다고도 했습니다. 그러면 이 늙음과 병듦과 죽음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붓다는 이 세 가지 사건을 마주치는 것을 신神의 사자를 만나는 것이며, 그 때 자신의 삶도 늙음과 병듦과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여 게으르지 말고 정진하여 번뇌에서 벗어나 행복과 자유를 얻으라고 한 것입니다. 이제 초기경전의 몇 가지 예를 통해서 붓다의 늙음에 대한 가르침을 살펴보겠습니다.

꼬살라의 왕 빠세나디가 세존께 묻습니다. “세존이시여, 태어난 사람 중에서 늙음과 죽음에서 자유로운 이가 있습니까?” “대왕이시여, 태어난 사람 중에서 늙음과 죽음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엄청난 부와 자산을 가지고 있고, 풍부한 금과 은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보배와 필수품, 풍부한 부와 곡식을 가진 부유한 왕족이라 하더라도, 그들이 태어났기 때문에 늙음과 죽음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유복한 사제, 풍부한 부와 곡식을 가진 부유한 가장이라 하더라도, 그들이 태어났기 때문에 늙음과 죽음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번뇌를 모두 소멸시키고, 성스런 삶을 살고 있고, 해야 할 일을 모두 해버렸고, 자신의 목적에 도달했으며, 존재의 속박을 완전히 파괴하였고, 궁극의 지혜로 완전히 해탈한 아라한이 된 비구라 할지라도, 그들의 이 육체는 부서지기 쉽고, 내려놓게 되어있습니다.”

(늙음과 죽음 경, SN 3:3)

얼핏 보기에는 이 경전에서 붓다가 빠세나디 왕에게 준 가르침이 단순히 자연의 사실을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회의 상위계층(부유한 지배자, 바라문, 가장)과 해탈한 아라한을 예를 들어 말하면서 게송을 통해서 법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야 할 필요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누구나 늙어 죽게 되어 있으니, 참된 법을 실천하라는 의미입니다. 또 다른 경전에서는 붓다는 늙음과 죽음이 우리에게 몰려오고 있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는지 빠세나디 왕과의 대화를 통해 밝히고 있습니다.

“대왕이여, 나는 당신에게 알리고 밝힙니다. 늙음과 죽음이 당신에게 몰려오고 있습니다. 대왕이여, 늙음과 죽음이 당신에게 몰려오고 있을 때, 무엇을 해야 합니까?”

”세존이시여, 늙음과 죽음이 저에게 몰려오고 있을 때, 법(담마)에 따른 행위, 바른 행위, 온전한 행위, 공덕행 외에 무엇을 해야 하겠습니까? 세존이시여, 통치권의 취기에 취해 있고,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에 빠져 있으며, 나라를 안정되게 통제하고 있고, 지상에서 큰 영토를 정복하고 다스리는 왕들은 코끼리 전투, 기마 전투, 전차 전투, 보병 전투로 정복합니다. 그러나 늙음과 죽음이 몰려오고 있을 때, 그러한 전투에 의한 승리의 희망이나 성공의 기회는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왕궁에는 적들이 당도했을 때, 그들을 분열시킬 수 있는 참사관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늙음과 죽음이 몰려오고 있을 때, 승리의 희망이나 성공의 기회는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왕궁에는 엄청난 양의 금괴와 금이 금고와 다락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재산으로 적들이 올 때 그들을 달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늙음과 죽음이 몰려오고 있을 때, 승리의 희망이나 성공의 기회는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늙음과 죽음이 저에게 몰려오고 있을 때, 법(담마)에 따른 행위, 바른 행위, 온전한 행위, 공덕행 외에 무엇을 해야 하겠습니까?”

붓다는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거대하고 하늘을 찌르는 단단한 바위산이 사방에서 함께 모여들어 네 방위에 있는 모든 생명을 뭉개버리는 것처럼, 그와 같이 늙음과 죽음이 몰려와 왕족, 바라문, 평민, 노예, 천민인 생명들을 뭉개버리네. 그것들은 아무것도 남겨두지 않고 모든 것을 뭉개버리네. 코끼리 부대, 전차 부대, 보병으로 승리할 희망은 없구나. 진실로 그것들을 이기거나 재산으로 그것들을 매수할 수 없네. 그러므로 여기 지혜 있는 사람은 자신의 유익을 고려하여 붓다, 담마, 상가에 굳게 믿음을 가져야 하네.”

(산의 비유 경, SN 3:25)

 

| 늙으면 수행을 할 수 없는 것일까?

이 경전에서는 늙음과 죽음이 우리를 덮칠 때 인생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올바르게 살고, 온전하고 공덕이 되는 행위를 하는 것이라는 내용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보디삿따(보살)가 왕자였을 때, 노인, 병자, 죽은 자를 만났습니다. 이런 광경은 이전에 전혀 본 적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만남으로 왕자는 세속적인 젊음, 건강, 수명의 도취를 버리고, 괴로움으로부터 해탈하는 길을 찾으려는 마음이 솟구쳤습니다. 『자따까』 주석서에서는 이 세 인물은 보디삿따에게 자신의 사명을 일깨우기 위해 변장한 모습으로 파견된 신들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늙음, 병듦, 죽음을 ‘신의 사자(Devadu-ta)’라고 부릅니다. ‘신의 사자 경’을 보겠습니다.

비구들이여, 그 때 염라대왕은 그 사람에게 첫 번째 신의 사자(늙음)에 대해서 질문하고, 조사하고 언급한다.

“이 사람아, 그대는 사람들 가운데서 첫 번째 신의 사자를 본 적이 없었는가?”

그러자 그 사람은 대답했다. “없었습니다. 대왕이시여, 보지 못했습니다.”

그때, 염라대왕은 그에게 말한다. “그런데 이 사람아, 그대는 나이가 80세, 90세, 100세가 되어, 연약하고, 지붕의 받침대처럼 허리가 구부러져 있고, 지팡이를 잡고, 그 지팡이를 의지하며, 비틀거리며 걷고, 병들고, 젊음과 원기가 없어졌고, 이는 빠졌으며, 머리는 희끗하거나 벗겨졌고, 피부는 주름졌고, 팔다리는 얼룩진 남자나 여자를 본 적이 없었는가?”

그러자 그 사람은 대답했다. “예, 대왕이여, 그런 사람들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 염라대왕이 그 사람에게 말했다. “이 사람아, 지적이며 성숙한 사람인 자네에게 다음과 같은 생각이 일어난 적은 없었는가? ‘나도 늙을 수밖에 없고, 늙음을 피할 수 없다. 이제 몸과 말과 마음으로 고귀한 행동을 하자.’

“아닙니다. 대왕이시여, 나는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게을렀습니다.’

그때 염라대왕이 말했다. “이 사람아, 게으름 때문에, 자네는 몸과 말과 마음으로 고귀한 행위를 하지 못했다. 그대는 그대의 게으름에 따라 처분될 것이다. 그대의 나쁜 행동은 어머니나 아버지, 형제, 자매, 친구, 동료가 한 것도 아니고, 친척, 천신, 수행자 또는 바라문이 한 것도 아니다. 자네 혼자서 그런 악한 행동을 했고, 그대는 그 과보를 경험해야만 할 것이다.”

(신의 사자 경, AN 3:35)

이처럼 ‘신의 사자 경’에서는 우리들 가운데에 존재하는 ‘신의 사자’를 우리들이 알아보지 못할 때, 다시 말해 늙음, 병듦, 죽음이라는 감추어진 경고 신호를 놓칠 때, 우리는 태만해지고 무모하게 행동하게 됩니다. ‘늙음 경’(SN l:51)을 보면 늙어서도 좋은 것은 계행이라고 하며, ‘늙지 않음 경’(SN l:52)에서는 늙지 않아야 좋은 것은 바로 계행이라고 합니다. 곧 늙는 과정에서도 우리가 놓지 않아야 할 것은 계행임을 알 수 있습니다. 늙음은 우리만이 아니라 붓다에게도 찾아 왔습니다. ‘늙기 마련임 경’(SN 48:41)을 보면, 붓다의 몸을 손으로 어루만지던 아난 존자가 붓다의 피부색이 맑지 않고 빛나지 않으며, 사지가 연약해지고 주름이 생겼고, 몸이 앞으로 굽어 있으며, 육체의 감각기관이 달라졌다는 사실에 놀랍니다. 그 때 붓다는 “아난다여, 젊었다 해도 늙기 마련이고, 건강하다 해도 병들기 마련이며, 살아있다 해도 죽기 마련이다.”라고 담담하게 자신의 늙음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붓다의 육체도 이렇게 늙음을 면할 수는 없었습니다. 늙음은 이처럼 우리에게 피할 수 없기에 부지런히 계행과 공덕행을 닦으라고 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늙으면 수행을 할 수 없는 것일까요?

젊었을 때보다 힘이 없어서 어려울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붓다가 완전한 열반(무여열반)에 들어가기 직전에 찾아온 수밧다라는 외도 수행자는 110세 또는 120세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나이 많은 외도 수행자가 붓다에게 법을 청했고 붓다는 비구로 받아주었으며, 그는 붓다가 완전한 열반에 들기 전에 아라한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나이가 많다는 것이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언제라도 마음을 맑힐 수 있음을 알고 게으르지 말아야 합니다. 설령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도 깨달음의 길은 열려있으니, 항상 깨어서 계정혜를 실천하는 것이 인간으로 태어난 기회를 살리는 일이 될 것입니다.

 

김재성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경대 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저서로 『초기불교산책』, 『불교의 이해』, 『현대사회와 불교생명윤리』, 『위빠사나 입문』 등과 역서로 『붓다의 러브레터』, 『명상의 정신의학』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