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노래하는 부처님 : 대관음사 청소년 난타 팀 샤카

더구덩 더구덩 신명나는 난타 소리

2017-07-04     유윤정

[특집] 우리 절 노래하는 부처님

음악은 소리를 내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모두 기쁘게 합니다. 절에 가면 노래하는 부처님들이 있습니다. 이 부처님들은 우리 절에서 신명나는 리듬을 함께 연주하고, 감미로운 멜로디를 쌓으며 부처님을 찬탄합니다. 오늘은 어떤 음성공양을 올릴까 기대합니다. 도반과 함께 눈을 보며 맞춰가니 더욱 환희롭습니다. 절에서 노래하고 흥을 찾으니 마음 차오르고 활기 넘칩니다.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남녀노소 함께 만들어내는 부처님 소리. 우리 절 부처님들을 만납니다. 절에서 함께 연주하고 노래하는 이들을 찾아가봅니다.

 

01    대관음사ㆍ청소년 난타 팀 샤카  |  더구덩 더구덩 신명나는 난타 소리  유윤정
02    조계사ㆍ회화나무 합창단  |  여든 넘어 함께 노래 부르니 어찌 그리 신나는지  유윤정
03    불광사ㆍ바라밀 합창단  |  테너와 베이스, 그 장엄한 찬불가  유윤정
04    봉은사ㆍ봉은국악합주단  |  천년고찰에서 국악 울리는 밤  김우진
05    진각종ㆍJnB 청년 보컬밴드  |  청년들의 소리에는 즐거움이 가득하다  김우진
06    관문사ㆍ어린이 우쿨렐레 교실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노래  김우진

 

흥에 겨운 연주자들이 몸을 좌우로 크게 들썩이며 북을 두들겼다. 더구덩 더구덩, 장단이 빨라진 것도 아닌데 점점 더 신명 난다. 땀방울이 등줄기에 주르륵 흘러도 북소리는 작아질 기미가 없다. 연습일 뿐인데도 그렇다. 북소리가 머리끝까지 울릴 만큼 신명 나는 연주를 보여준 이들, 대구 대관음사 청소년 난타亂打 팀 샤카이다. 이들의 연습은 언제나 시간 가는 줄 모른다. 

|    연습은 실전답게, 실전은 연습처럼

대관음사 청소년 난타 팀 샤카를 찾은 일요일, 연습실 입구에서부터 들리는 북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17명의 아이들이 제 몸통보다 큰 북을 앞에 놓고서는 신이나 힘껏 북을 두들기는데, 지켜보던 이들도 그만 등줄기가 들썩들썩해진다. 어찌나 흥겨운지 한 소년의 북채가 부러져 날아갔지만, 익숙하다는 듯 새 채를 가져와 가락을 이어갔다. 실력이 수준급이다.

“하이고, 더버라!” 한 장단의 연주를 마치고 쉬는 시간이 되자, 진지하게 몰두했던 아이들이 누구랄 것 없이 까불이들로 돌아왔다. 진작부터 냉방을 하고 있었지만 운동량이 대단한 듯 아이들의 이마에는 구슬땀이 흘렀다. 표정은 누구보다 환했다.


“석가모니(Sākyamuni) 부처님에서 따온 ‘샤카’가 맞습니다. 아주 성스러운 존재를 의미하죠. 이 아이들도 정말 아주 그렇습니다.”

샤카 팀의 난타 선생님인 최수빈 씨가 아이들을 바라보았다. 2014년 처음 만들어진 청소년 난타 팀 ‘샤카.’ 청소년 법회 2부에 진행되는 난타 수업으로부터 결성됐다. 대관음사에서 난타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청소년 팀으로 활동한 것은 이들이 처음이다. 팀에는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고루 있는데 함께 뒤섞여 노는 것이 서로 허물없다. 옆 사람의 북소리를 들으며 마음을 맞춰본 친구들이기 때문이다.

“청소년 법회를 마치고 1시부터 3시까지 격주로 연습합니다. 그런데 쉬는 주에도 아이들에게 전화가 와요. 난타 수업하자고요. 부처님오신날과 법회 공연을 앞두고는 5월 한 달 동안 열 번을 연습했네요. 어찌나 즐거워하는지 쉬려고 하질 않아요.(웃음) 제가 없는 날에는 자기들끼리 모여 연습하고, 영상을 찍어 보내기도 합니다.”

난타 선생님의 말씀에 뒷받침이라도 하듯 장지영(16) 학생이 이렇게 말한다.

“지난주도 쉬는 주였는데 저희가 ‘선생님, 저희 연습하고 싶어요.’라고 연락 드려서 연습했어요. 평소 음악을 좋아하는데 북소리가 크게 온몸을 둥둥 울리니까 정말 좋아요. 난타는 사람이 많을수록 리듬감이 크게 형성돼요. 친구들이 많을수록 더 신나죠. 연습 시간도 세 시까진데 애들이랑 한 번만 더 치고 가자고 하다 보면 어느새 벌써 다섯 시예요. 법회도 나오고, 친구들도 보고, 난타도 칠 수 있어서 일요일이 기다려져요.”

잠깐의 휴식을 마치고 다시 북채를 쥐었다. 아이들은 “연습은 실전답게, 실전은 연습답게!” 하고 외치며 수업을 시작했다. 연습실을 뛰어다니던 개구쟁이들이 다시 북채를 잡으니 카리스마 넘치는 연주자로 돌아왔다.

|    두 손만 있으면 스트레스는 안녕

“뒷줄에서 연습하던 친구들은 조금 쑥스러워하죠? 저 친구들은 이제 막 난타를 시작한 친구들이에요. 몇 달 되지 않았죠. 조금 전에 앞줄에서 신나게 연주하는 친구들도 처음에는 저랬어요. 구석진 곳에 앉아 휴대폰만 만지던 친구들이었죠.”

질풍노도의 청소년이고 그 수가 많은데 연습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는지 묻자, 최 선생님은 어려운 점보다 난타를 치니 아이들의 성격 변화가 눈에 띄게 도드라진다고 전했다.

“처음에는 어머니들이 걱정이 많으셨어요. ‘저런 악동들을 데리고 어떻게 연습을 하고 무대에 올릴까’ 하고요. 북도 던지고, 문도 손으로 여는 법이 없었어요. 그런데 이번 부처님오신날 공연을 마치고서 어머니들이 깜짝 놀랐다고 하셨어요. 아이들이 무척 밝아졌다고요.”

최 선생님은 ‘스트레스가 풀려서인 것 같다’고 진단했다. 함께 북을 쳐보면 안다. 기분이 안 좋거나 고민이 있는 날에는 아는 가락도 설렁설렁 친다. 그럴 땐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단을 시작한다. 신나게 두들기고 나면 아이들의 표정이 확실히 풀려있단다. 아이들도 있는 힘껏 난타를 치니 확실히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말했다.

이제 아이들에게 난타는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심심하면 난타를 친다고 이야기한 단원도 여럿이었다. 장지영 학생은 “쉬는 시간에 연필 두 자루를 가지고 가락을 칠 때도 있어요. 친구들이 옆에 와서 구경하면서 ‘와, 너 난타도 쳐?’라고 이야기하면 괜스레 뿌듯해지기도 해요.”라며 싱긋 웃었다. 샤카 팀의 회장 박석훈(18) 학생은 특히 시험 기간에 더 난타 리듬이 생각난다고 했다. 

“집중력 떨어질 때 난타 리듬을 치게 돼요. 집중 안 될 때 두들기면 스트레스도 풀리는 기분이에요. 막 신나고 잡생각도 사라져요.”

아이들의 성격도 활발하게 바뀌고 스스로 절에 가는 것을 좋아하니 부모들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 날도 몇몇의 부모가 간식도 가져다주면서 연습을 도왔다. 부모들은 학부모후원회를 조직해 아이들이 활동하는 데 부족한 점이 없는지 물심양면으로 살피고 지원했다. 아이들도 부모님이 응원해주니 더욱 좋다고 입을 모았다.

사중도 마찬가지였다. 샤카 팀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절에는 연습실과는 별도로 샤카 팀의 공연복을 보관하는 방이 있을 정도다. 더불어 아이들의 노력이 연습으로만 끝나지 않도록 정기 법회 때 공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었다. 특히 부처님오신날과 연말 송년회 때는 큰 무대를 준비해 더 많은 대중에게 그간의 기량을 뽐낼 수 있도록 했다. 올해 부처님오신날에는 절 마당 특설무대에서 난타를 치는 모습이 대구 전 지역으로 방송되기도 했다. 공연 이후 아이들은 조금 더 자신감이 생겼다. 이야기를 듣고 나니 아이들이 난타를 치는 모습이 다시 눈에 들어온다. 오금질이 깊고 너름새가 멋졌다.

|           눈 한 번 마주치면 떨리는 것이 사라져요

“북을 치면 아드레날린이 막 분비되는 느낌이에요. 특히 공연할 때는 긴장되는 것도 다 잊어버릴 정도예요. 공연 마치고 나면 해냈다는 생각도 들어요.”

신나게 장단을 치고서 가진 잠깐의 쉬는 시간. 박석훈 학생에게 왜 난타가 좋냐고 묻자 눈을 빛내며 자신 있게 답했다. 난타를 하면서 큰 무대에도 오르니 더욱 담대해졌다. 무대에 오를 땐 긴장감보다 성취감이 더 크다고 했다. 장지영 학생은 아무리 큰 무대라도 시작 전에 친구들 얼굴을 보면 떨리는 마음이 사라진다고 했다.

“시작 전에 친구들이랑 눈 한 번씩 쓱 마주치고 웃으면 떨리는 것이 저절로 사라져요. 오히려 웃게 돼요. 신나게 치다보면 신호가 딱 맞아서 모두하고 똑같이 칠 때가 있거든요. 그럴 때 진짜 좋아요. 우리가 협동이 잘 된 느낌도 들고요.”

아이들은 이야기를 주고받는 내내 즐겁다는 말을 가장 많이 전했다. 생글생글 미소가 떠나질 않았다. 약간은 짓궂게도 “항상 협동이 잘 되는 것은 아니지 않냐”고 물었다. “박자가 잘 안 맞을 때도 있어요. 박자가 안 맞아서 속상하기보다 서로 ‘네가 틀렸다’고 탓을 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땐 집중력도 떨어지고 서운하기도 하죠.”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렇다면 서운한 마음이 들 땐 친구와 어떻게 화해하는가. 우문현답이다. “같이 난타를 쳐요. 그러다 보면 저절로 풀려요. 같이 마음 맞춰 쳐서 그런가?”

인터뷰를 마무리하면서 샤카 팀에서 무엇을 더 하고 싶은지 물었다. 이들의 바람에서 그들이 힘차게 두들기던 난타 같은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다.

“다른 데에서 난타를 보면 우리 샤카 팀이 생각나요. 우리도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람 더 모아 연습해서 대회 나가고 싶은 것이 작은 바람입니다. 그리고 다른 공연들 보니까 페트병이나 통 같은 것도 같이 사용해서 난타를 하더라고요. 멋있었어요. 크게 욕심내지 않는 선에서 다른 여러 악기도 같이 배우고 싶어요. 꽹과리나 이런 악기도 같이 배워서 좀 더 풍성한 난타 팀을 만들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