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돈에 대한 새로운 태도, 자발적 가난

자발적 가난과 당당한 삶

2015-08-02     조혜영

특집 :  가난과 부, 어떻게 마음을 내야 하는가?

빈자일등, 무소유 등의 단어는 불교와 가난을 공통의 이미지로 우리에게 전달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오히려 생산 활동에 힘쓰라 했고, 재화 모으는 것을 부정하지 않으셨습니다. 많은 경전에서도 재물의 공덕을 적고 있습니다. 심지어 죽는 괴로움보다 가난의 괴로움이 더 크다고 말씀하십니다. 『금색왕경』에서는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고 계십니다. “어떤 법을 괴로움이라고 하느냐? 이른바 빈궁이 이것이요. 어떤 괴로움이 가장 무거운가? 이른바 빈궁의 괴로움이라. 죽는 괴로움과 가난한 괴로움 두 괴로움이 평등하여 다를 것이 없나니 차라리 죽는 괴로움을 받을지언정 빈궁하게 살지 않는 것이 마땅하리.”

지금은 돈이 종교인 시대입니다. 모든 종교도 돈에 자유롭지 않습니다. 우리 사회가 자본주의 사회이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돈은 종교뿐 아니라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대하는 불교인의 마음과 생활양식은 어떠해야 하는지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돈이 주인이 된 자본주의 세상에서 불자는 어떻게 재물을 대하며 살아가야 하는가, 이 물음에 답을 찾고자 이번 특집을 마련했습니다. - 편집자 주

부와 가난을 보는 붓다의 눈 / 마성스님
부처님은 왜 돈을 많이 벌라고 했을까?  / 윤성식
나와 세상을 명확하게 바라보는 힘 / 김성동
돈에 대한 새로운 태도, 자발적 가난 / 조혜영

 
돈이 신앙인 시대다. 언젠가부터 선택의 기준은 ‘돈’이 되었다. 어법에도 맞지 않는 “부자 되세요.”라는 말이 덕담처럼 오고 가더니 세상의 문법도 어긋나졌다. 삶의 수단이었던 돈이 기어이 목적이 되어 버린 사회, 불필요한 것을 소유하지 않는 ‘무소유’의 가치는 성인聖人들의 것으로 이상화되거나 혹은 공허한 가르침으로 전락했다. 부처님께서는 생산 활동에 힘써 돈을 버는 것을 부정하지 않으셨지만 탐심貪心은 내려놓으라 하셨다. 부와 가난, 양극단을 떠난, 돈에 대한 중도中道적 삶은 어떻게 가능해질까?
 
중국의 한 선사가 “어제의 가난은 가난이 아니었네. 오늘의 가난이 진짜 가난이다. 왜냐하면 어제 가난은 송곳 꽂을 만한 땅도 없었는데, 오늘 가난은 송곳 그 자체가 없어졌다.”라고 말한 것도 소유와 무소유를 떠난 중도의 가르침을 말한 것일 터이다.
 
연봉, 투자, 빌딩, 재테크… 이런 단어들이 범람하는 가운데, 낯설게 다가오는 단어의 조합이 있다. 자발적 가난. 혹자는 ‘가난’이라는 말에 거부감이 들 수도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가난은 빈곤과는 다른 개념이다. 
 
실천적 경제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에른스트 슈마허(Ernst Friedrich Schumacher, 1911~1977)가 쓴 책 『Less is More』의 한국어판이 『자발적 가난』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저자는 말한다. 기아를 낳는 빈곤은 퇴치해야 하지만 헛것을 좇아 넘치지 말라고. 내게 필요치 않은 것을 더 가지려 하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자발적 가난이다. 
 
나에게 꼭 필요한 것과 필요치 않은 것, 내 삶에 진정 가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지 못하기에 돈의 허상을 좇아 부화뇌동附和雷同하게 되는 건 아닐까. 자발적 가난은 부와 반대되는 부족하고 궁핍한 삶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최소한의 삶의 조건을 찾아 자유롭고 당당하게 살아가는 하나의 방식이자 태도다.  
 
 
1.png
 
 
2.png
 
| 소유하는 물건과의 공생共生
인천 서구. 자신만의 삶의 방식으로 자발적 가난을 실천해오고 있는 불자를 만났다. 정토회 인천경기서부지부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송순애(57) 보살. 
 
“저, 가난하지 않은데….”라며 취재를 부끄러워하던 송순애 보살의 집은 여느 평범한 가정과 다를 것 없어 보였다. 보편적인 사회의 기준으로 가난하지 않은 건 확실했다. 하지만 그 집에 잠시만 머물다보면 일반 가정과 다른 점을 쉽사리 발견할 수 있다. 일단 흔히 사용하는 휴지가 없다. 두루마리 화장지를 넣는 통에는 휴지 대신 직접 만든 무명 냅킨이 들어 있다. 그럴듯해 보이는 가구들도 가까이 다가가면 모서리가 닳아 있거나 흠집이 많이 나 있어 세월의 흔적이 엿보인다. 책장과 책상 등이 모두 20~30년은 된 것들이다. 버려진 것을 주워오거나 지인들이 안 쓰는 것을 받아 사용한 게 20~30년이니 실제 수명은 그 이상인 셈이다.
 
“물건에도 생명이 있다고 느껴져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쓰는 편이에요. 남편과 독일에서 10년 간 유학을 하고 1990년대 중반에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물건이 넘쳐나더라고요. 잘 살게 된 건 좋지만 버려지는 것들도 많다는 것을 알았어요. 당연히 환경에도 도움이 되지 않겠죠.”
 
송순애 보살의 옷장엔 새로 산 옷이 없다. 스무 살 때부터 입던 옷이거나 바자회에서 싼 가격으로 구입한 옷들이다. 털이 달린 겨울 구두도 수선을 해서 20년 넘게 신고 있다.
 
“유행을 좇는 삶은 오히려 개성이 없지 않나요? 다 똑같잖아요. 남에게 어떻게 보이느냐는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저는 그저 내게 어울리는 물건, 내게 맞는 삶의 방식을 찾았을 뿐이에요.”     
 
송순애 보살의 삶은 돈을 축적하기 위해 자린고비처럼 아끼거나 돈 한 푼에 벌벌 떠는 궁상맞은 생활과는 구별된다. 소유하는 물건과의 공생共生, 나아가 환경을 생각한 작지만 큰 선택이다. 가습기 대신 산에서 주워온 솔방울을 물에 담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한다. 아파트 베란다 한 쪽에는 작은 박스 안에 흙을 담아 지렁이를 키운다. 과일도 가능한 껍질째 먹고 채소도 꼬투리를 남기지 않지만 그럼에도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지렁이의 먹이로 사용된다. 지렁이의 배설물과 섞여진 흙을 화분에 심으면 비료 역할을 톡톡히 한다고 한다. 
 
 “누군가 제게 이런 말을 하더라고요. 너 혼자 환경을 생각한다고 세상이 바뀌냐고. 저는 바뀐다고 생각해요. 크게 드러나지 않을 뿐이지, 저 하나가 바뀌면서 남편과 자식들이 바뀌고, 또 뜻에 동참하는 지인들이 바뀌고. 그렇게 보이지 않는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세상의 어느 한 부분을 변화시키고 있는 게 아닐까요?”
 
20년 된 재봉틀로, 뜯어진 시장가방을 수선하는 송순애 보살의 모습에서 느긋한 여유를 발견한다. 우리가 더 많은 돈이 필요한 이유는 끊임없이 생산되는 더 멋진 물건을 소유함으로써 더 그럴싸하게 나를 포장하기 위함인지도 모른다. 그 욕망이 좌절됐을 때, 마음은 불안해지고 삶은 향기를 잃는다. 사회적 기준을 따라 돈을 좇기보다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소욕지족小欲知足하는 삶. 그런 삶에서는 특유의 빛이 난다. 어떻게 대하고 바라보느냐에 따라 물건 역시 다른 빛깔을 낸다. 자칫 낡아보였을지 모를 물건들이 제 주인을 만나 빛을 발하고 있다. 
 
 
3.png
 
 
 
| 물질적 교환 대신 가치를 교환하다
누군가의 삶을 ‘자발적 가난’으로 명명하는 순간, 그 또한 개념이 되고 상相이 될지도 모른다. 사실 그들은 그저 자신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다. 다만, 내게 필요한 것과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을 제대로 알아차릴 수 있는 지혜와 생각한 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용기가 조금 더 있다고 할까.       
 
일류대 졸업장과 스펙, 연봉 높은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속에서 조금 다른 길을 걸어가는 청년을 만났다. 서울시 ‘마을로 청년활동가’ 박진범(28) 씨가 그 주인공이다. 대학 재학 중에 전공을 살려 디자인 회사의 인턴으로 일하던 그는 직장생활에 회의가 느껴졌다고 한다. 하루 종일 컴퓨터 모니터만 보며 서로 대화도 없이 메신저로 업무를 주고받는 분위기가 낯설었고, 예술 관련 일이었음에도 정해진 틀에 맞춘 작업이 대부분이었다. 회사생활의 유일한 목적이 있다면 승진과 연봉뿐이었다.
 
“그 무렵부터였던 것 같아요. 위로 향하는 삶보다는 아래로 향하는 삶을 살아야겠다고 생각한 게. 성공을 좇는 삶이 아니라 나눔을 실천하는 삶을 살고 싶었어요.”
 
인턴을 그만두고 좋아하는 요리를 배우며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기 시작했다. 또, 우연한 기회에 동대문도서관에서 어르신들께 사진을 가르쳐 드리는 재능기부도 하게 되었다.
 
“카페 일을 하면서 모르는 사람들끼리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주고받는 게 좋았어요. 재능기부를 하면서는 가르치면서 배운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고, 제가 만난 한 분 한 분의 이야기를 통해 오히려 그분들의 값진 경험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막연하게 품고 있던 생각이 구체화되면서 진범 씨는 과감한 결단을 하게 된다. 한 학기를 남겨놓고 대학을 자퇴하기로 한 것이다. 주변의 걱정과 만류가 있었지만 자신이 가고 싶은 길을 깨달은 이상, 돌아갈 이유는 없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고 했던가. 마음이 하나로 정해지자, 기대하지 않았던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일들이 잔치처럼 펼쳐졌다. 명상나눔 협동조합 ‘풍경소리’에서 마음챙김 명상을 배우며 디자인 작업까지 맡게 됐다.
 
“‘풍경소리’를 만나지 않았다면 어쩌면 돈을 좇는 삶으로 돌아갔을지도 모르겠어요. 명상을 통해 마음을 들여다보며 중심을 잡을 수 있었어요.” 
 
진범 씨는 현재 ‘일하면서 공부하는 청소년 학교, 인디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재능기부로 사진을 가르쳐주며 청소년 휴休 카페 매니저로도 활동하고 있다. 물론 돈을 받고 하는 일은 아니다. 물질적 교환 대신 다른 가치를 교환한다. 기타, 풍물놀이, 페이스페인팅 등 인디학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배울 수 있고, 학생들과 함께 하며 새로운 경험을 나눌 수 있다. 또한 서울시가 추진 중인 ‘마을로 청년활동가 사업’의 청년활동가로 선정되어 성북마을방송 ‘와보숑’에서 성북동과 성북동 사람들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좋아하는 일을 하다 보니 돈이 따라오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대기업에 취직한 또래 친구들의 연봉에 비할 것은 아니지만, 그들보다 자유롭다.
 
진범 씨는 또다시 새로운 내일을 꿈꾸고 있다. 20년 넘게 살고 있는 장충동 집을 보수해 청년활동가들의 작업실을 만들 계획이다. 일종의 공유주택인 셈이다. 그곳에서 마을 주민들과 함께 기억을 기록하는 일을 하고 싶단다. 
 
“아버지 직장 때문에 부모님은 파주에서 사시고, 오래된 집에서 동생과 둘이 살고 있었어요. 얼마 전에 본 ‘호빗(The Hobbit: The Battle of the Five Armies, 2014)’이란 영화에 이런 대사가 나오더라고요. 정확히 기억나진 않지만, ‘사람들이 금화를 추구하기보다 고향을 사랑한다면 더 멋질 텐데….’ 앞으로 제 삶의 나침반이 될 것 같습니다.”  
 
어쩌면 그 ‘고향’은 부와 가난의 양극단을 떠난 궁극의 근원, ‘참나眞我’의 자리를 말하는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