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스리체어스 threechairs 이연대 대표 인터뷰

출판과 언론의 경계를 허무는 이들의 행보을 주목한다

2018-12-24     유윤정

 

미디어 혁명 시대의 불교미디어 무엇을 할 것인가

미디어 환경이 혁명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계와 영역은 허물어진 지 오래다. 신문과 방송, 잡지 등의 전통적 미디어의 위축은 갈수록 심화된다. 디지털미디 어와 영상미디어의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다. 플랫폼이 콘텐츠를 압 도 하는 것도 하나의 트렌드가 됐다. 유튜브는 기존 검색포털을 따돌리고 콘텐 츠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됐다. 이번 기획은 전법과 신행의 가장 중요한 토대 중 하나인 불교미디어의 갈 길을 묻는다. 미디어 혁명의 시대, 불교미디어는 어디로 갈 것인가?

01  특별좌담: 미디어 혁명과 불교  / 서재영, 유병탁, 윤호우, 정재민
02  불교미디어는 어디쯤 와 있나 / 유윤정
03  출판과 언론의 경계를 허무는 스리체어스  / 유윤정
04  해외 불교미디어 현황 /  김우진
05  융합미디어를 위한 동국미디어센터의 실험 / 김우진

 

 

여기, 신문 같기도 잡지 같기도 한 책이 있다. 스리체어스의 『북 저널리즘BookJournalism』. 북저널리즘은 출판과 저널리즘의 중간에 서 있는 콘텐츠다. 지금 읽어야 할 필요 있는 현실과 밀착한 지식 과 정보를 책처럼 깊고 풍성하되 뉴스처럼 빠르게 전달한다. 책 의 깊이에 저널리즘의 감각을 더했다. 이들이 발행한 또 다른 간 행물 『바이오그래피biography』, 『모노그래프monograph』는 단행본 같 은 잡지이며 또 단행본이기도 하다. 미디어 혁명 시대. 미디어의 문법에는 정해진 것이 없다. 관성을 좇지 않고 틀에서 벗어나 새 로운 길을 걷는 이들의 행보. 출판과 언론의 경계를 허무는, 세상 에 없던 가치를 창출하는 출판사 스리체어스다.

 

 

 

| 새롭게 도전하는 스리체어스의 접근방식

“콘텐츠를 담는 그릇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습니 다. 북저널리즘은 문고본 책으로 나오지만, 적당 한 주제와 적당한 분량의 콘텐츠가 있다면 타블로 이드판 신문이 되었건 중철 브로셔가 되었건, 디 지털 저널로건 낼 수 있습니다. 이용자 입장에선 만나고 싶은 사람의 인터뷰나 좋은 주제의 글이 있다면 언제 읽어도 소중합니다.”

한계를 설정하지 않는다. 지금, 깊이 알아야 할 정보를 전하기 위해서라면 쉬운 방법, 남들이 하는 방법, 널리 알려진 방법보다 가장 좋고 효과 적인 방법을 찾는다. 스리체어스 이연대 대표(39) 에게 ‘스리체어스의 출판물이 잡지, 단행본, 신문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융합돼 있는 이유, 형식 의 경계를 허문 이유’를 묻자 돌아온 대답이다.

이 대표는 “출판과 관련해서 경험이 없기 때 문에 그런 것 같다. 첫 직장이 출판사고 사수한테 일을 배웠다면 한정된 틀 안에서 자유를 발휘했 을 것이다. 기초가 없다 보니 고정관념의 틀도 없 었다. 모르기 때문에 ‘왜 바코드를 두 개 받으면 안 되지?’ 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하고 살짝 미소 지 었다. 그는 스리체어스를 설립하기 전 7년간 국회 의원 보좌관으로 일했다.

스리체어스는 2014년 7월 언론인, 광고인, 국 회 보좌진이 모여 설립한 출판사다. 이들은 잡지 와 단행본, 신문과 책의 경계를 허물고 지금 읽어 야 할 지식 콘텐츠를 전하며, 출판뿐 아니라 인물 브랜딩, 각종 문화 행사 기획 등 다양한 프로젝트 를 함께 이끈다.

이들이 시도하는 ‘책처럼 깊이 있게 신문처럼 빠르게’, ‘우리가 지금 깊이 읽어야할 주제를 다루 는’ 북저널리즘은 2017년 2월부터 현재까지 29종 의 책과 14종의 온라인 콘텐츠를 출간했다. 시장 은 책과 뉴스의 경계를 허무는 흐름에 주목했다.

발행된 책 중 약 10종이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검 사는문관이다』외2쇄,3쇄를찍은책도15종이 넘는다.

지난 8월에는 영국 언론사 ‘가디언 e Guardian’ 과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와 파트너십을 체결 해, 북저널리즘 콘텐츠를 교환해 싣기로 했다. 『회 사인간, 회사를 떠나다』 같은 콘텐츠는 영국에서 도 방향성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흥미로워했다 는 후문이다.

“신문을 보면 정보는 알 수 있지만, 지혜로워 지는 기분이 들진 않았습니다. 지속적으로 그 정 보에 대해 업데이트되어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기 사를 읽었을 때 단편적 사실 외에 전체 맥락까지 꿰뚫기는 어렵지요. 그 부분에 대해 더 알고 싶다 면 책을 봐야 하는데, 세상만사를 찾아보기 위해 책을 한정 없이 읽을 수는 없었습니다.”

북저널리즘이 탄생하게 된 계기다. 이들은 지 금의 얼리어답터들은 앞선 세대만큼 신문을 탐독 하는 세대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젊은 혁신가들은 신문보다 전문가의 SNS나 외국 저널, 커뮤니티 모임을 통해 고급 정보를 얻었다. 공급자의 입장 이 아닌 독자의 눈으로 보았다. 최소 시간에 최상 의 지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했 다. ‘전문가의 기자화’를 통한 통찰과 분석, 의견이 담긴 콘텐츠를 만들기로 했다.

“저희가 살핀 얼리어답터들은 매사 모든 경 험을 해보려 합니다. 자기 개발에 대한 비용을 지 불하고 활동해보고 그리고 자발적으로 전파도 많 이 하고요. 저희는 이들을 일과 삶이 성장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저희 독 자는 주로 스타트업 종사자, 지식산업 종사자들이 많습니다. 독자의 65%가 25~39세의 젊은 층이고, 서울 독자가 64%에 해당합니다. 뉴스레터 구독자 는 매주 3%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 콘텐츠 시장은 변하고 있다

이연대 대표는 “뉴스라는 정의는 변하고 있다”고 운을 띄웠다. 뉴스 내용, 지면 형식, 이용하는 습관 을 예로 들었다. 오늘날 뉴스는 어디에도 치우치 지 않게 중립적으로 객관적으로 써야 한다는 기조 지만, 1970~1980년대의 선전과 선동은 대단했다 는 것이다. 지면을 구성하는 형식도 1960~70년 대는 1면에 14개의 기사가 들어있었다면, 오늘날 신문은 과거와 비교했을 때 훨씬 큐레이션curation 이 잘 돼있다. 뉴스를 보는 이용자의 습관도 달라 졌다. 2000년대 이전에는 신문지를 넘겨서 신문 을 보았다면, 2000년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는 마우스로 스크롤 해서, 요즘은 손가락으로 스마트 폰을 쓸어 올리며 뉴스를 확인한다. 이렇듯 앞으 로의 뉴스도 계속 바뀔 것이라는 판단이다.

“지금 국내 일부 언론사들에서는 AI가 쓴 기 사를 송고합니다. 우리는 이 기사를 정보로는 받 아들이지만 콘텐츠로 받아들이진 않습니다. 정보 의 나열은 비트bit의 조합일 뿐이지 않을까요. 오 피니언이 실리지 않는 콘텐츠가 미래에도 지금만 큼 많이 소비될 수 있을까요. ‘일간지의 매거진화’, ‘기자의 전문화’도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 으로 보입니다. 10년 후에 뉴스란 무엇일까요. 포 털 사이트가 등장했을 때, 페이스북이 처음 나왔 을 때, 대한민국의 언론계, 출판계 등을 모두 휩쓸 어버릴 줄은 아무도 몰랐습니다.”

북저널리즘은 지금 콘텐츠 확장에 박차를 가 하는 중이다. 해외 매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 과 함께, 앞으로 디지털과 종이 콘텐츠를 합해 매 달 7~12종의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를 발행할 예 정이다. 또한 정기구독 서비스 론칭과 웹서비스 개편도 앞두고 있다.

“다양한 콘텐츠를 더욱 자주 선보일 수 있도 록 하는 게 저희의 첫 번째 목표입니다. 웹서비스

개편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큐레이션 서비 스. 발행되는 콘텐츠를 인기순, 발행일 순으로만 보여줄 것이 아니라 큐레이션 할 예정입니다. 둘 째, 독자와 저자, 에디터의 유대관계를 넓히기 위 한 커뮤니케이션 공간, 셋째, 정기구독자 전용 서 비스입니다. 정기구독자들에게 북 저널리즘 오디 오, 커뮤니티 등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북저널리 즘 랩Lab이라고 해서, 각계 젊은 전문가를 모시고 하는 세미나에 정기독자를 우선 초대하거나 무료 오프라인 커뮤니티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시장은 변하고 있다. 대중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면 무엇이든 섞인다. 공중파 방송의 유튜브 채널이, 신문사의 활발한 SNS 활동이 그 러하다. 이 대표는 뉴스레터에서 북저널리즘 에디 터만의 특성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저희는 책과 뉴스 사이의 절충이 아니라 세 상에 없던 가치를 만드는 마음으로 일합니다.”

모두가전통미디어의위기를말할때,직접 변화에 뛰어들어 미래를 만드는 이들이 있었다. 이제, 책과 뉴스의 사전적 정의가 어떻게 바뀔지 모르게 되었다.

 

글. 유윤정
사진. 최배문